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귀신버섯

동물식물자료/식물도감

by 巡禮者 2011. 7. 15. 10:27

본문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귀신 버섯

 

지난 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브라질과 미국의 과학자들이 지난 2009년 발견한 새로운 발광 진균류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마이콜로지아 최신호에 공개했다.

 

브라질의 생물학자 데니스 데자르딘과 미국 샌프란시스코주립대의 연구팀은 이 새로운 야광 귀신버섯의 표본을 수집하고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로 명명했다.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는 지난 1840년 영국의 식물학자 조지 가드너가 마지막으로 발견했다. 그는 당시 브라질의 열대 우림 지역에서 ‘코코 꽃’(flor-de-coco)이라 부르며 이 귀신버섯을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모습을 우연히 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귀신 버섯을 발견한 브라질 상파울루 화학연구소 연구팀은 “빛을 내는 동물은 띄엄띄엄 빛을 발하는 데 반해 발광 버섯은 효소가 있어 물과 산소가 있는 한 24시간 내내 빛을 발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말에 따르면 야광 버섯들은 반딧불과 동일한 방법인 루시페린의 화합물과 루시페라아제의 화학적 혼합으로 발광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빛은 책을 읽을 수 있을 만큼 밝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책을 읽을 수 있을 만큼 밝은 빛을 내는 이 야광 버섯은 희귀하지만 전 세계에 걸쳐 비슷한 종이 분포하며 신화 속에 주로 등장해 왔다.

 

이들 발광 진균류는 썩은 통나무 등에서 희미하지만 섬뜩한 빛을 내기 때문에 과거 ‘도깨비불’(foxfire)로 알려지기도 했다. 데자르딘 박사는 “사람들은 과거 발광 진균류를 주로 ‘귀신 버섯’으로 부르며 두려워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들 버섯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다른 야광 버섯들이 어떤 원인으로 빛을 발하는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연구팀은 이 발광 진균류가 반딧불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시페린의 화합물과 루시페라아제의 화학적 혼합으로 발광한다고 추측하고 있다.

 

여기서 루시페라아제는 빛을 발하는 새로운 화합물을 생산하기 위해 루시페린과 산소, 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보조하는 효소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아직 이 균류에 루시페린과 루시페라아제가 함유돼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데자르딘 박사는 “빛을 내는 동물을 띄엄띄엄 빛을 발하는 데 반해 야광 버섯은 효소가 있어 물과 산소가 있는 한 24시간 하루 내내 빛을 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야광 버섯이 발광 원인은 대부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과학자들은 일부 발광 포자식물이 빛으로 곤충을 유혹한 뒤 포자를 분산시켜 개체 수를 확산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야광 버섯 이외에도 지구상에는 발광하는 생물체가 여럿 존재한다. 해파리나 반딧불이 가장 친숙하며, 박테리아나 곰팡이, 곤충, 어류 등의 생물이 다양한 방법으로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물식물자료 > 식물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 환경 이겨내는 식물유전자 찾았다  (0) 2011.08.08
새까지 꿀꺽한 ‘괴물’ 식충식물 포착  (0) 2011.08.06
찔레꽃 전설  (0) 2011.06.15
옥잠화  (0) 2010.11.09
헬리크리섬  (0) 2010.11.0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