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00萬 인구 25년만에 깨졌다
서울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한때 1100만명 고지를 넘보던 서울시(市)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 1988년 말 기준으로 서울시 등록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한 이후 25년 만이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1014만3645명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로 서울에 살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거주(居住) 불명 등록자' 15만3973명을 제외한 총거주자 수는 998만9672명으로 집계됐다.
서울에 사는 내국인 수는 지난 1992년에 1096만9862명으로 최다(最多)를 기록했다. 이후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인구가 줄어드는 주된 이유로는 집값 등 주거에 드는 비용이 크게 오르면서 기존 주민들이 경기도와 인천·충남 등으로 대거 이탈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국내 인구 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이 빠져나간 지역이 서울이다. 서울시는 전입자에서 전출자 수를 뺀 순(純)유출 인구가 10만1000명에 달했다. 특히 전입신고를 바탕으로 서울에서 빠져나간 이들이 어디로 갔는지 살펴봤더니 전체의 60%가 경기도로 옮겨간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노인층 비율이 늘어나는 노령화(老齡化)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더 큰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현재 60대 이상이 전체 서울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10년 14.6%에서 지난해 16.6%를 기록했다. 3년 새 무려 2%포인트가 증가했다.
서울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난 2010년 말 이미 100만명을 넘어섰고 오는 2027년엔 이보다 2배 많은 2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비용의 증가를 가져온다.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총 7927억원이 사용된 서울시 노인 복지 예산은 오는 2030년에는 기초노령연금이나 장기요양보험 같은 각종 복지 비용이 급증함에 따라 지금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1조473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경제활동 인구의 중추라 할 수 있는 20~40대 인구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연령대별로 서울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볼 때 20대는 2010년 15.4%에서 지난해 14.4%로, 30대는 18.1%에서 지난해 17.4%로 모두 하락했다. 같은 기간 40대 인구는 17% 수준에서 정체를 보이고 있다.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는 서울의 도시 생산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의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은 지난 1995년 연 15%를 기록한 것을 고비로 하락하기 시작해 2012년에는 연 2%까지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GDP 성장률인 2.8%보다 낮은 수준으로 서울이 더 이상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動力)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와 경제활동 인구가 줄어들면 세수(稅收)와 생산성 등이 낮아진다"며 "수도권 전체 인력이 서울에서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와야 도시 경쟁력이 되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거주 불명 등록자란 주민등록상 전입신고를 한 지역에 살고 있지 않는 사람을 가리킨다. 사망 또는 실종 신고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통 서울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고 전체 서울 인구에 합산시키곤 한다.
한국, 근무시간 OECD 1위.. 2013년 해외여행자 1484만명 (0) | 2014.07.26 |
---|---|
세계대학 랭킹 서울대 44위…카이스트 56위·포항공대 60위 (0) | 2014.03.17 |
국시원, 물리치료사-방사선사-치기공사 합격자 발표 (0) | 2014.01.07 |
'우울한 한국 자화상'..삶 만족도 OECD 26위(종합) (0) | 2013.12.19 |
한국 수학실력 OECD 1위, 흥미는 최하위권 (0) | 201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