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중 제18주일-재산의 소유와 분배

복음생각

by 巡禮者 2010. 7. 30. 10:13

본문

 

연중 제18주일-재산의 소유와 분배

발행일 : 2004-08-01 [제2409호]

미래행복=탐욕절제+나눔실천

바둑의 묘미 가운데 하나가 수순의 묘입니다. 똑같은 자리를 둔다 하여도 순서가 바뀌면 결과가 달라지는 것이 수순의 묘입니다. 아마추어 7~8급인 저의 바둑실력으로는 그 차이를 전부 깨달을 수는 없습니다만 해설을 들으면서 느끼는 점은 우리 인생도 바둑과 같은 수순이 있다는 것입니다.

순서가 바뀜으로써 우리 인생을 볼품없이 만드는 것의 대표적인 것이 소유와 나눔, 목적과 수단, 영혼과 육신 등으로 표현되는 인생에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느 면에서는 서로 대조되는 특징을 가진 가치들입니다. 이러한 가치들이 탐욕에 의해 우선순위가 바뀔 때 우리 인생은 자신이 꿈꾸는 행복한 미래와는 너무나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오늘 복음은 재산의 소유와 분배 그리고 소유와 생명과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전반부는 유산에 대한 문제입니다. 유산문제에 대한 판단을 원하는 사람에게 예수님은 판단을 거부하면서 탐욕을 경계하라는 말씀과 더불어 소유와 생명이 관계없음을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먼저 예수님은 세속적 문제의 해결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재산이나 권력 등 세속적 가치마저도 신앙과 연결하는 우리, 재산의 유무와 성공의 정도를 축복의 잣대로 선택하는 오늘의 우리에게 예수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분인가를 생각하게 합니다.

그리고 또 이 이야기는 소유의 문제에 대한 해답은 탐욕에서 찾아야 함을 보여줍니다. 사실 우리는 소유의 문제에 대해 나름대로의 기준과 논리를 가지고 있고, 또 물질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우리는 그 기준대로 판단합니다. 아마 복음의 질문자가 예수님께 기대했던 바도 분명한 기준과 판결을 원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해야 할 점은 예수님은 어떤 기준이나 당위를 제시하지 않고 『어떤 탐욕에도 빠져 들지 않도록 조심 하여라』라는 경계의 말씀을 하셨다는 점입니다.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나 판단이 이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라 「탐욕에 대한 경계」가 소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는 점을 교훈으로 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소유의 문제와 관련하여 생각할 점은 소유는 행복을 담보하지는 못합니다만 현재의 상태를 증폭시킨다는 사실입니다. 즉, 지금 행복하다면 소유는 행복을 증폭시키고, 지금 불행하다면 소유는 불행을 가중시킨다는 말입니다. 그러기에 현재의 상태가 소유보다 중요하기에 우리는 정신적 부가 더 중요하다는 점과, 탐욕 없는 마음이 있을 때만이 소유와 재물은 하느님의 축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후반부는 어리석은 부자에 대한 예화입니다. 엄청난 수확을 얻은 부자는 그것을 즐기려 합니다만 그러나 부자는 그날 죽음을 맞이하기에 그러한 행동이 어리석다는 것이고, 우리는 그러한 사람처럼 하느님께 인색한 사람이 되지 말라는 예화입니다.

이 이야기는 우선 생명이 물질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생명이 있을 때 물질이 의미를 가지기에 소유보다는 생명을 지향함이 인생의 올바른 순서라는 뜻입니다. 소유에 우선순위를 두면서도 영원한 생명에는 무관심한 우리, 탐욕에 빠져 소유를 위해 삶과 생명마저 희생하는 우리에게 생명과 물질의 올바른 순서를 보여주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또 이 예화는 인생은 우리의 의지와 계획에 따라 움직여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부자는 나름대로 자신의 삶의 지도를 가지고 미래를 계획합니다만 그 계획은 죽음으로 아무 의미를 가지지 못하게 됩니다. 소유가 나의 미래를 보증해 주지 않는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않습니다. 지금은 나의 능력범위안에 있는 일을 다만 할 뿐이요, 미래는 미래의 구원과 행복을 주관하는 그분께 의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이야기가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미래의 행복은 소유와는 관계가 없다는 점입니다. 아마 부자는 자신의 소유가 행복한 미래를 보증해 줄 것으로 기대했을 것이고, 사실 이러한 부자의 모습은 보통사람들의 마음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러한 부자를 비웃으면서 하느님께 인색한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 여기서 「하느님께 인색한 사람」은 성서학자들에 따르면 「하늘에 보물을 쌓지 않는 사람」, 즉, 「가난한 사람들에게 희사할 줄 모르는 사람」을 뜻합니다(마르 10, 21절 참조). 그러기에 이 이야기는 미래의 행복은 「소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난한 이들을 위한 「나눔」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행복한 미래를 꿈꾼다면 소유에 의지하기 보다는 탐욕의 절제와 함께 나눔을 실천할 것을 요구하는 말씀입니다.

이 한 주 나의 탐욕과 곡식 창고를 점검하면서 내가 잘못 실천하고 있는 가치의 우선순위를 반성해 보는 한 주간의 삶이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