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61% '방학후유증'…늦잠·짜증·집중력 저하
직장인이 휴가 후유증을 겪는 것처럼 개학을 맞은 초등학생들 역시 열에 여섯은 방학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www.yoons.com)에 따르면 이달 17∼21일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6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1%는 "자녀가 방학 후유증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의 후유증 비율(67.1%)이 4~6학년(52.4%)보다 높았다. 나이가 어릴수록 방학이 끝나고 다시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얘기이다.
가장 흔한 증상(복수응답)은 '아침 늦잠(87.6%)'이었고, '하교 후 피곤(50.1%)'을 호소하는 초등학생들도 많았다.
'텔레비전을 보거나 컴퓨터를 하다 늦게 잔다'(23.6%), '쉽게 짜증을 내는 등 불안 증세가 나타난다'(20.1%), '학교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다'(11.4%) 등도 증상으로 거론됐다. '코피 등 이상 증세를 보인다'(8.4%),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7.7%)는 사례까지 있었다.
이런 방학 후유증은 평균 8.1동안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학을 앞두고 자녀의 방학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나름 '특별 관리'에 나선 부모들도 많았다.
일반적 개학 준비(복수응답)로는 '일찍 재우고 일찍 깨우기'(53.8%), '평소 식사시간에 맞춰 밥 먹이기'(38.2%), '운동 등 체력관리'(28.5%), '매일 책상에 앉아 공부하게 하기'(23.2%), '학원 등 사교육 시작'(11.4%) 등이 꼽혔다.
방학을 좋아하는 자녀와 달리 학부모의 68.1%는 '학기 중'보다 방학이 더 힘들다고 답했다.
'밥과 간식을 끼니마다 챙겨주어야 해서'(54.2%), '게임·TV에 집착하는 아이들과 매일 전쟁이라서'(31.3%), '방학숙제 등을 하기 어려워서'(24.7%), '아이들이 어지른 집을 매일같이 치워야 해서'(21.5%) 등의 이유(복수응답) 때문이었다.
교육업계 관계자는 "직장인에게 휴가 후유증이 있는 것처럼 아이들도 방학 후유증이 있다"며 "개학을 앞두고 흐트러진 생활리듬을 바로잡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을 조금씩 앞당기고 집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갖는게 좋다"고 조언했다.
한국 자살률 29.1명..OECD 단연 '최고' (0) | 2015.08.30 |
---|---|
"흡연이 신경퇴행 가속화..치매 앞당긴다" (0) | 2015.08.24 |
韓 남자들, 상대적으로 일찍 죽는 이유는.."흡연·스트레스 탓" (0) | 2015.08.24 |
韓 기대수명 女 85.1년-男 78.5년..6.6년이나 차이 (0) | 2015.08.24 |
술독에 빠진 제주 (0) | 201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