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느님의 종 124위 열전 <11> 김종교ㆍ손경윤ㆍ김계완

특집 순교자

by 巡禮者 2014. 8. 19. 19:58

본문

 

하느님의 종 124위 열전 <11> 김종교ㆍ손경윤ㆍ김계완

 

복음화 밑거름 된 의사와 약사

 

 

▲ 서소문 밖 순교성지는 지난해에만 7만 2000여 명에 이르는 순례자들이 찾는 세계적 순교성지가 됐다. 사진은 지난 2013년 6월 사제성화의 날을 맞아 서소문순교성지에서 미사를 봉헌하는 서울대교구 사제단. 평화신문 자료사진

 

 

조선시대 의원의 사회적 위상은 오늘날과 달랐다. 전의감과 내의원, 혜민서 등 의료기관에서 일했던 의관들은 보통 서자나 중인 가운데서 잡과(의과) 시험이나 취재를 거쳐 뽑았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양반과 구분돼 '중인'이라는 신분층을 형성한 의원들은 '대를 이어' 종사했다. 물론 일정한 차별을 받기는 했지만 나름 전문 기술관원으로서 정치적, 사회적 혜택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닫힌 시대의 천재'로 꼽힌 이벽(요한 세례자, 1754~1785)에게 "놀라운 사람"이라는 말을 듣곤 했던 김종교(프란치스코, 1754~1801) 또한 의원이었다. 학문에 대한 취미가 남다른 데가 있었지만, 의원이라는 신분의 한계는 명확했다. 그런데도 그는 이벽의 아낌을 받았고, 이벽을 통해 교리를 배웠다. 그가 신앙의 덕목을 실천하면서 드러나지 않게 보낸 17년의 생애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치회'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 그가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지만 깊이 있는 공부를 통해 이벽에게 인정을 받았다고만 알려져 있다. 1794년 말 주문모(야고보, 1752~1801) 신부가 입국하자 세례를 받고 이듬해 을묘박해로 체포된 뒤 잠시 마음이 약해져 석방됐지만, 이후엔 다시 신앙의 본분을 다하며 끝까지 덕행을 실천했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정약용(요한) 문초과정에서 그의 이름이 거론되면서 포도청에 체포돼 신앙을 버리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형조로 이송된 뒤에는 용감하게 신앙을 고백하고 1801년 10월 4일 홍필주(필립보, 1774~1801)와 함께 서소문 밖으로 끌려나가 참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백원(伯源)'이라고도 불린 손경윤(제르바시오, 1760~1802)은 서울 안국동에서 약국을 운영하며 살았다. 1790년 최필공(토마스, 1744~1801)에게 교리를 배우고 입교한 그는 이듬해 신해박해 때 최필공, 최인길(마티아, 1765~1795) 등과 함께 체포돼 형조에 갇혔다가 석방됐다. 풀려나자마자 다시 신앙을 회복한 그는 아우 손경욱(프로타시오)에게 교리를 가르치면서 열심히 교리를 실천했다. 1796년 말에도 다시 형조에 체포돼 여러 차례 형벌을 당한 뒤 석방됐다. 주 신부가 입국한 뒤에는 회장에 임명돼 최창현(요한, 1759~1801)과 최필공, 홍익만(안토니오, ?~1802), 김이우(바르나바, ?~1801) 등과 함께 신앙공동체를 이뤄 활동했으며, 교우들의 신앙생활을 돕기 위해 아주 큰 집을 매입해 바깥채를 술집으로 꾸미고 안채는 교우들을 불러 가르치는 장소로 삼아 효과적으로 공동체를 보호했다. 이로 인해 신유박해가 일어나면서 '천주교 우두머리'로 밀고돼 1802년 1월 29일 서소문 밖에 끌려나가 참수형을 당했다. 그의 나이 42세였다.

 

 '백심(白心)'이라고도 불린 김계완(시몬, ?~1802) 또한 양인 출신으로 한양에서 약국을 운영하면 살았다. 1791년 최필공에게서 천주교 서적을 얻어 본 뒤 최창현에게 세례를 받고 입교했으나 신해박해가 일어나면서 체포됐다가 마음이 약해져 석방됐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왔다가 이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신앙을 회복한 그는 주 신부가 입국하면서 동료들과 함께 신앙공동체를 이루고 교리를 연구하며 주 신부의 복사로 교회 일을 도왔다. 1800년 말 최필공이 체포되자 피신했으나 마침내 붙잡혀 1802년 1월 29일 서소문 밖으로 끌려나가 참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입교와 배교, 순교'라는 일련의 과정은 진리를 말하고 복음을 선포하는 일이 거저 주어지는 은총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러기에 영적 씨름이 필요하고, 날마다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아야 하며, 나날의 신앙적 투쟁이라는 씨앗을 뿌려야 한다. 이러한 영적 투쟁 없이는 복음을 전할 수 없을뿐더러 진정한 복음화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