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독일 |
혈청 치료요법 연구 | |
1902 |
영국 |
말라리아의 생체침투법 발견 | |
1903 |
덴마크 |
광선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법 | |
1904 |
러시아 |
소화생리학 연구 | |
1905 |
독일 |
결핵 연구 | |
1906 |
이탈리아 |
신경계 구조 연구 | |
1907 |
프랑스 |
질병유발 원생동물의 습성 발견 | |
1908 |
독일 |
면역 연구 | |
1909 |
스위스 |
생리학, 병리학, 갑상선 외과 수술 | |
1910 |
독일 |
세포 화학 연구 | |
1911 |
스웨덴 |
혈관 봉합, 기관 이식 연구 | |
1912 |
프랑스 |
눈의 굴절광학 연구 | |
1913 |
프랑스 |
과민증 연구 | |
1914 |
오스트리아 |
내이(內耳)의 전정기관 연구 | |
1915 |
수상자 없음 |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수상자 없음 |
|
|
1918 |
수상자 없음 |
|
|
1919 |
벨기에 |
면역에 대한 여러 가지 발견 | |
1920 |
덴마크 |
모세관운동 조절 메커니즘 연구 | |
1921 |
수상자 없음 |
|
|
1922 |
영국 |
근육내 열생산에 관한 발견 | |
1923 |
캐나다 |
인슐린 발견 | |
1924 |
네덜란드 |
심전도 메커니즘 발견 | |
1925 |
수상자 없음 |
|
|
1926 |
덴마크 |
암 연구에 공헌 | |
1927 |
오스트리아 |
마비성 치매에 대한 말라리아 접종 연구 | |
1928 |
프랑스 |
티푸스 연구 | |
1929 |
네덜란드 |
신경치료 비타민 연구 | |
1930 |
미국 |
인체 혈액 분류 | |
1931 |
독일 |
호흡효소의 성질과 작용 발견 | |
1932 |
영국 |
뉴런의 기능에 관한 여러 가지 발견 | |
1933 |
미국 |
염색체 유전기능 | |
1934 |
미국 |
빈혈에 관한 간장 치료법 재발견 | |
1935 |
독일 |
배(胚)에서의 형성체의 역할 | |
1936 |
영국 |
신경충격의 화학적 전달 연구 | |
1937 |
헝가리 |
생물학적 연소 연구 | |
1938 |
벨기에 |
호흡조절에서 정맥동(靜脈洞)과 대동맥 작용 메커니즘의 역할 | |
1939 |
게르하르트 도마크 |
독일 |
프론토질의 항균 효과 |
1943 |
덴마크 |
비타민 K 발견 | |
1944 |
미국 |
신경섬유의 분화된 기능 연구 | |
1945 |
영국 |
페니실린과 그 치료 가치의 발견 | |
1946 |
미국 |
X선 조사에 의한 돌연 변이 유발 | |
1947 |
미국 |
글리코겐의 촉매작용에 의한 전환방법 발견 | |
1948 |
스위스 |
DDT 특성 | |
1949 |
스위스 |
중뇌의 기능 발견 | |
1950 |
미국 |
부신피질 호르몬과 그 구조, 생물학적 효과 연구 | |
1951 |
남아프리카공화국 |
황열병 발견 | |
1952 |
미국 |
스트렙토마이신 연구 | |
1953 |
미국 |
탄수화물 대사작용에서 조효소 A 시트르산 회로(사이클) 발견 | |
1954 |
미국 |
조직배양에서 척추성 소아마비 바이러스 배양 | |
1955 |
스웨덴 |
산화효소의 작용 성질과 형태 | |
1956 |
독일 |
심장 카테터법과 순환계 변화에 관한 발견 | |
1957 |
이탈리아 |
합성 큐라레 생산 | |
1958 |
미국 |
화학적 과정의 유전적 조절, 유전적 재결합 | |
1959 |
미국 |
인공 핵산 생산 연구 | |
1960 |
오스트레일리아 |
조직이식에서 발생 하는 후천적 면역성 연구 | |
1961 |
미국 |
내이(內耳)의 기능 | |
1962 |
영국 |
디옥시리보핵산의 분자구조에 관한 발견 | |
1963 |
오스트레일리아 |
신경섬유를 통한 신경충격의 전달 연구 | |
1964 |
미국 |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대사작용에 관한 발견 | |
1965 |
프랑스 |
세균의 조절작용 발견 | |
1966 |
미국 |
암의 원인과 치료에 관한 연구 | |
1967 |
미국 |
눈의 화학적, 물리학적 시각과정에 관한 발견 | |
1968 |
미국 |
유전 암호 해독 | |
1969 |
미국 |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질병에 관한 연구와 발견 | |
1970 |
미국 |
신경전달의 화학에 관한 발견 | |
1971 |
미국 |
호르몬 작용 | |
1972 |
미국 |
항체의 화학적 구조 연구 | |
1973 |
오스트리아 |
동물의 행동 유형 연구 | |
1974 |
미국 |
세포의 구조적, 기능적 체제 연구 | |
1975 |
미국 |
종양 바이러스와 세포의 유전 물질 사이의 관계 | |
1976 |
미국 |
전염병의 기원과 확대 연구 | |
1977 |
미국 |
방사성면역측정법의 개발 : 뇌하수체 호르몬 연구 | |
1978 |
스위스 |
디옥시리보핵산 분해효소의 발견과 응용 | |
1979 |
미국 |
CAT의 개발(컴퓨터에 의한 단층 촬영) : 주사(走査), 방사선 진단술 | |
1980 |
미국 |
이물질에 대한 면역계 반응의 유전적 조절 연구 | |
1981 |
미국 |
대뇌 반구(半球)의 기능 | |
1982 |
스웨덴 |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화학 및 생리학 | |
1983 |
미국 |
유전 영향을 미치는 전이성 식물유전자 발견 | |
1984 |
영국-덴마크 |
단일클론 항체 생산기술에 관한 이론 및 개발 | |
1985 |
미국 |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련된 세포 수용체의 발견 | |
1986 |
미국 |
세포성장의 조절을 돕는 화학적 인자 발견 | |
1987 |
일본 |
항체의 유전적 측면 연구 | |
1988 |
영국 |
질병퇴치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약제 개발 | |
1989 |
미국 |
암유발 유전자 연구 | |
1990 |
미국 |
신장과 골수 이식 개발 | |
1991 |
독일 |
세포의 정보교환 발견 | |
1992 |
미국 |
가역단백질의 인산화 발견 | |
1993 |
영국 |
절단유전자 발견 | |
1994 |
미국 |
G-단백질이라는 신호 세포 발견 | |
1995 |
미국 |
몸 구조를 결정하는 배(胚)의 마스터 유전자 무리 발견 | |
1996 |
오스트레일리아 |
면역체계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는 방법의 발견 | |
1997 |
미국 |
질병을 유발하는 새로운 매개물질인 프리온 발견 | |
1998 |
미국 |
신경전달물질로서 일산화질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
1999 |
미국 |
세포 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특정 신호체계 발견 | |
2000 |
스웨덴 |
신경전달물질과 그 작용 원리 발견 | |
2001 |
미국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분자 구조 발견 | |
2002 |
영국 |
세포의 자살 메커니즘 규명 | |
2003 |
미국 |
세포의 자살 메커니즘 규명 | |
2004 |
미국 |
후각수용체와 후각 메커니즘 발견 | |
2005 |
오스트레일리아 |
위염·위궤양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발견 및 발병 메커니즘 규명 | |
2006 |
미국 |
RNA 간섭 현상 발견 | |
2007 | 마리오 R. 카페키 마틴 J. 에번스 올리버 스미시스 |
이탈리아·미국 영국 영국·미국 |
유전자 적중 기술을 발전시킨 공로 |
2008 | 뤽 몽타니에 프랑수아즈 바레 시누시 |
미국 프랑스 |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발견한 공로 |
하랄트 추어 하우젠 | 독일 | 자궁 경부암의 발병과 관련된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의 발견한 공로 | |
2009 | 엘리자베스 H. 블랙번 캐롤 W. 그라이더 잭 W. 조스택 |
미국 |
염색체 끝에 있는 DNA 조각인 말단부(telomere)에 대한 연구와 텔로메라아제(telomerase)라는 효소를 발견한 공로 |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0) | 2010.08.13 |
---|---|
역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0) | 2010.08.13 |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 (0) | 2010.08.13 |
역대 노벨 평화상 수상자 (0) | 2010.08.13 |
2005 노벨상 수상자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