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네덜란드 |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 발견 | |
1902 |
독일 |
당과 푸린 합성에 관한 연구 | |
1903 |
스웨덴 |
전기해리 이론 | |
1904 |
영국 |
비활성 기체 원소 및 주기율표에서의 위치 발견 | |
1905 |
독일 |
유기염료,히드로방향족화합물에 관한 연구 | |
1906 |
프랑스 |
플루오르 화합물 : 무아상로(爐) 도입 | |
1907 |
독일 |
비세포적 발효 발견 | |
1908 |
영국 |
원소 붕괴 및 방사성 물질의 화학에 관한 연구 | |
1909 |
독일 |
촉매, 화학평형과 반응속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
1910 |
독일 |
지방족 화합물의 결합에 관한 선구적 연구 | |
1911 |
프랑스 |
라듐 및 폴로늄 발견 : 라듐 분리 | |
1912 |
프랑스 |
그리냐르 시약(試藥) 발견 | |
1913 |
스위스 |
분자 내에서의 원자의 결합 연구 | |
1914 |
미국 |
많은 원소의 원자량의 정밀 측정 | |
1915 |
독일 |
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수상자 없음 |
|
|
1918 |
독일 |
암모니아 합성 | |
1919 |
수상자 없음 |
|
|
1920 |
독일 |
열화학 분야에 관한 연구 | |
1921 |
영국 |
방사성 물질의 화학:동위원소의 산출과 성질 | |
1922 |
영국 |
질량분석사진기를 이용한 연구:원자량 정수의 법칙 | |
1923 |
오스트리아 |
유기물질의 미량분석법 | |
1924 |
수상자 없음 |
|
|
1925 |
오스트리아 |
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 | |
1926 |
스웨덴 |
분산계 연구 | |
1927 |
독일 |
담즙산의 조성에 관한 연구 | |
1928 |
독일 |
스테롤의 구조 및 비타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스테롤에 관한 연구 | |
1929 |
영국 |
당의 발효와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에 대한 연구 | |
1930 |
독일 |
헤민, 클로르필 연구 : 헤민 합성 | |
1931 |
독일 |
화학적 고압방법의 발명과 개발 | |
1932 |
미국 |
표면 화학에서의 발견과 연구 | |
1933 |
수상자 없음 |
|
|
1934 |
미국 |
중수소 발견 | |
1935 |
프랑스 |
새로운 방사성 원소 합성 | |
1936 |
네덜란드 |
기체속의 X선과 전자의 쌍극자 모멘트 및 회절에 관한 연구 | |
1937 |
영국 |
탄수화물 및 비타민 C 연구 카로티노이드, 플라빈, 비타민 연구 | |
1938 |
리하르트 쿤(수상 거부) |
독일 |
카로티노이드 및 비타민 연구 |
1939 |
독일 |
성 호르몬 연구 | |
1943 |
헝가리 |
화학 연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 | |
1944 |
독일 |
중핵분열 발견 | |
1945 |
핀란드 |
사료보존법 개발 | |
1946 |
미국 |
효소의 결정화 발견 | |
1947 |
영국 |
알칼로이드 및 기타 식물 생성물 연구 | |
1948 |
스웨덴 |
전기이동 및 흡착 분석법 연구 : 혈청 단백질 | |
1949 |
미국 |
극저온에서의 물질의 운동 | |
1950 |
독일 |
디엔 합성 발견 및 개발 | |
1951 |
미국 |
초우라늄 요소의 발견과 연구 | |
1952 |
영국 |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개발 | |
1953 |
독일 |
거대분자 연구 | |
1954 |
미국 |
화학적 결합의 특성 연구 | |
1955 |
미국 |
폴리펩티드 호르몬 합성 | |
1956 |
영국 |
화학반응의 동역학 연구 | |
1957 |
영국 |
뉴클레오티드류와 뉴클레오티드 조효소에 관한 연구 | |
1958 |
영국 |
인슐린 분자의 구조 결정 | |
1959 |
구 체코슬로바키아 |
폴라로그래피의 발견과 개발 | |
1960 |
미국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 개발 | |
1961 |
미국 |
광합성 중에 발생하는 화학적 단계 연구 | |
1962 |
영국 |
헴단백질(hemoprotein)의 구조 결정 | |
1963 |
이탈리아 |
플라스틱 분야에서 중합체의 구조와 그 합성 | |
1964 |
영국 |
악성빈혈 퇴치에 꼭 필요한 생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결정 | |
1965 |
미국 |
과거 생물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여겼던 스테롤, 클로로필의 합성 | |
1966 |
미국 |
분자의 화학결합 및 전기적 구조에 관한 연구 | |
1967 |
독일 |
초고속 화학반응에 관한 연구 | |
1968 |
미국 |
비가역과정의 열역학 이론 연구 | |
1969 |
영국 |
특정 유기화합물의 3차원적 형태결정에 대한 연구 | |
1970 |
아르헨티나 |
탄수화물의 생합성(生合成)에서 당(糖) 뉴클레오티드와 그 역할 발견 | |
1971 |
캐나다 |
분자 구조에 대한 연구 | |
1972 |
미국 |
효소 화학에 기초 공헌 | |
1973 |
독일 |
유기금속 화학 | |
1974 |
미국 |
긴 사슬을 가진 분자에 관한 연구 | |
1975 |
영국 |
입체화학 연구 | |
1976 |
미국 |
보란의 구조 | |
1977 |
벨기에 |
열역학의 영역 확대 | |
1978 |
영국 |
생물계에서 에너지 이동과정 이론을 공식화 | |
1979 |
미국 |
유기물질의 합성에서 붕소(硼素)와 인(燐) 화합물 도입 | |
1980 |
미국 |
최초로 혼성 DNA 제조 | |
1981 |
일본 |
화학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 |
1982 |
영국 |
생물학적 물질의 구조 결정 | |
1983 |
캐나다 |
전자이동 연구 | |
1984 |
미국 |
폴리펩티드 합성방법 개발 | |
1985 |
미국 |
작은 분자의 화학구조를 추론하는 수학적 방법 개발 | |
1986 |
미국 |
기초 화학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개발 | |
1987 |
영국 |
다른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분자 개발 | |
1988 |
서독 |
광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구조 발견 | |
1989 |
미국 |
RNA의 기본적 성질 발견 | |
1990 |
미국 |
복잡한 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역합성 분석법 | |
1991 |
스위스 |
핵자기 공명 분광학 개발 | |
1992 |
미국 |
분자간 전자이동에 대한 설명 | |
1993 |
미국 |
유전자 연구와 조작기술 고안 | |
1994 |
미국 |
탄화수소 분자의 연구기술 개발 | |
1995 |
네덜란드 |
오존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메커니즘을 설명 | |
1996 |
미국 |
새로운 탄소화합물인 풀러렌의 발견 | |
1997 |
영국 |
ATP 합성효소 발견 | |
1998 |
영국 |
컴퓨터를 사용한 분자반응 연구방법 고안 | |
1999 |
미국 |
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반응 연구 | |
2000 |
미국 |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 | |
2001 |
일본 |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기법 개발 | |
2002 |
미국 |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질량 측정, 3차원 구조 규명 | |
2003 |
미국 |
세포막에서 단백질 분리 성공 | |
2004 |
미국 |
단백질 분해를 조절하는 세포 내 메커니즘 발견 | |
2005 |
프랑스 |
복분해 반응 및 복분해 반응을 유도하는 촉매물질 개발 | |
2006 |
미국 |
유전자 정보 전사과정연구 | |
2007 | 게르하르트 에르틀 | 독일 | 표면 화학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 |
2008 | 로저 첸 마틴 챌피 시모무라 오사무 |
미국 미국 일본 |
특정한 세포의 활동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공로 |
2009 |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A. 스타이츠 아다 E. 요나트 |
인도 |
리보솜이라 불리는 세포입자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연구 |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 (0) | 2010.08.13 |
---|---|
역대 노벨상 수상자 4명 한자리에 모인다 | (0) | 2010.08.13 |
역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0) | 2010.08.13 |
역대 노벨 생리학, 의학상 수상자 (0) | 2010.08.13 |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