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결석의 치료방법과 예방법은?
Q. 병원에서 요로 결석이라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크기는 1cm 미만이며 저는 쇄석기로 수술을 진행하고 싶은데 병원에서는 요관수술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요로 결석 수술 시 부작용이나 후유증은 없나요?
A. 요로 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에서 발견되는 결석으로 요로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발생률이 높으며 오랫동안 앉아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며 수분의 섭취 부족, 감소 등 여러 원인으로 생기기도 합니다.
주로 20~40대 젊은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매우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며 구역질이 나고 식은땀, 창백해지고 결석부위에 따라 옆구리, 어깨 부분, 생식기 주변으로 통증이 확산하기도 합니다.
병원에서 검사는 환자의 임상증상과 신체검사, 요 검사에 의해 진단되고 방사선 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되어 치료가 시작됩니다. 신장 결석의 20%, 요관결석의 80%는 자연적으로 배출되나 치료나 수술 시 결석의 크기, 모양, 성분, 위치, 매복상태, 기간과 신장과 요관의 상태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치료법으로는 대기요법, 약물요법, 체외충격파쇄석술, 요관경하배석술, 경피적신쇄석술, 복강경 및 개복수술이 있습니다.
크기가 0.4cm 이상일 경우는 자연적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0.4~1cm의 돌은 체외충격파 쇄석기로 간단히 시술받을 수 있습니다. 부작용도 없고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요관경을 통한 수술 방법은 입원해야 하고 또한 하반신 마취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으며 요관손상 또는 요관협착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로결석으로 요관이나 신장이 막히면 신장으로부터 소변의 흐름이 막혀 신장에 물이 차는 수신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신증이 발생하면 신장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면서 요로결석에 요로 감염이 동반되면 신우신염이나 농신증,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법으로는 하루에 2리터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하며 염분을 과다 섭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연산은 결석 형성을 억제하는 성분이므로 오렌지, 자몽, 포도 등을 적당히 섭취하면 좋습니다.
주말 경락법: 소화가 잘 되는 토요일, 기운을 충전하는 일요일 (0) | 2013.06.17 |
---|---|
프로폴리스의 효능을 아시나요? (0) | 2013.06.12 |
하지정맥류, 다리 정맥 이상 따른 혈액 역류 혈관 비치고 통증 (0) | 2013.06.12 |
충혈 생긴 눈에 안약만 넣다간 녹내장 위험 (0) | 2013.06.12 |
[원포인트 스트레칭] 11편 (0) | 201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