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입으로 새끼 낳던 멸종 개구리, 부활시킨다

생태계 자연 환경

by 巡禮者 2013. 3. 22. 17:03

본문

 

입으로 새끼 낳던 멸종 개구리, 부활시킨다

 

 

과거 멸종된 입으로 새끼를 낳는 위부화개구리의 복원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라고 19일 내셔널지오그래픽뉴스 등이 보도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 마이크 아처 교수팀은 지난 15일 미국 워싱턴DC 내셔널지오그래픽 본사에서 개최된 멸종동물 복원에 관한 대중강연 '테드엑스 멸종복원'(TEDx DeExtinction) 행사에서 "현재 위부화개구리의 배아 초기 단계까지 성공했다."고 밝혔다.

 

 

 

 

 

호주 멸종 개구리 복원 계획인 '나사로 프로젝트'의 선임 연구원인 아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잃어버린 종은 복원할 수 없다'던 기존 개념을 뒤집는 도전"이라고 말했다.

아처 교수팀이 복원을 목표로 한 위부화개구리는 독특한 부화 과정으로 과거 많은 학자들로부터 주목을 모았던 종이다. 이 개구리는 남부 위부화개구리(Rheobatrachus silus)와 북부 위부화개구리(Rheobatrachus vitellinus) 두 종으로 나뉘는데 모두 호주 퀸즐랜드주(州) 열대 우림이란 한정된 범위에서 살았다.

두 종은 각각 1973년, 1984년 발견됐으나 1980년대 중반 모두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모습을 감췄다.

연구진은 개구리 복원하기 위해 먼저 동결된 남부 위부화개구리에서 '죽은' 세포핵을 꺼내 먼 친척뻘인 아종 개구리가 낳은 알에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5년간 시행한 실험에서 일부 알은 자연스럽게 분열해 초기 배아 단계까지 성장했지만 며칠만에 죽고 말았다.

그렇지만 성과도 있었다. 유전자 검사 결과 분열 중이던 세포에서는 위부화개구리의 유전물질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아처 교수는 "아직 배아 초기 단계를 넘을 수 없는 이유를 파악하진 못했다."면서 "이는 알의 취급 방법을 비롯한 팀 전체에서 나타난 시행 착오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부 위부화개구리가) 언젠가 되살아나 기쁜 듯이 뛰어다닐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