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11년 뒤 100만 명 돌파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치매 환자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20년마다 2배씩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테마가 있는 뉴스Why뉴스[생생영상] 화제뉴스원장 친딸은 유학…6살 보호 아동은 방치死박정자·정동환이 들려주는 조선이야기라스베이거스 아이스매직쇼 'Magic on Ice'로 더위 훌훌~보건복지부는 2일 전국의 치매 환자 규모와 향후 전망 등을 추계한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의 비율은 9.18%로 전체 54만1000여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남성은 15만6000여명, 여성은 38만5000여명이었다.
이번 조사는 분당 서울대병원이 복지부 의뢰를 받아 지난해 4월~12월 65세 이상 노인 6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다.
치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 치매가 71.3%로 가장 많았고, 혈관성 치매 16.9%, 기타 치매가 11.8%의 비율이었다.
정도별 분포는 가장 낮은 수준인 최경도 치매 환자가 17.4%, 경도 치매 환자가 41.4%로 전체의 58.8%를 차지했으며, 중등도 치매 환자가 25.7%, 증세가 가장 심각한 중증 치매 환자가 15.5%의 분포를 보였다.
인지기능이 떨어져 치매로 가는 중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의 유병율도 전체 노인의 27.8%를 기록했다.
치매 위험도는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고학력자보다는 저학력자가 높았다.
김기웅 국립중앙치매센터 센터장은 "여성은 에스트로겐 등 여성 호르몬 변화가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저학력자 또는 문맹자의 경우 뇌에 가해지는 자극이 고학력자에 비해 적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사별·이혼·별거 등으로 인한 배우자의 부재가 치매 위험을 2.9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머리 부위를 다쳤을 경우 3.8배, 우울증을 앓는 경우 2.7배 치매 위험이 높았다. 반면 중강도 이상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할 경우 치매 위험을 3분의 1 가량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한 고령화는 치매 유병률도 높일 것으로 전망됐다. 2012년 54만여명인 치매환자는 2024년에는 100만명을 돌파해, 2030년 127만명, 2050년 271만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년마다 약 2배씩 치매환자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과장은 "전반적으로 2008년 예상했던 것보다 1~2년 정도 더 빨리 치매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는 2008년 당시 전망 기준으로 삼았던 2005년도 인구센서스의 추정보다 실제 고령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모 치매 소문냈다며 누나에게 ..'치매와의 전쟁', 그 현장에 가보니..'내가? 설마!!' 설마가 키우는 치매드라마에 나온 '치매'…진실과 허구..치매가 몰려온다
정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칭 '치매특별등급'을 내년에 신설하고, 치매 상담콜센터를 오는 10월 개통하는 등 치매관리 대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임 과장은 "기존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주로 신체활동 장애를 평가하고 있는데 치매특별등급은 인지기능에 초점을 맞춰 평가하는 것"이라면서 "주야간 보호시설을 확충해 요양 부담을 덜어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맥주병으로 종아리 밀기, 정말 효과 있을까? (0) | 2013.06.04 |
---|---|
땀이 나야 운동한 것? 잘못된 헬스 상식들 (0) | 2013.06.04 |
유전자가 똑같은데 둘의 외모·질병 왜 달라지는 거죠? (0) | 2013.06.04 |
복지직 공무원, 우울증유병률 일반인 3배 (0) | 2013.05.27 |
36개월 이하 아이에게 견과류 주지마세요 (0) | 201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