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지충
2013.02.14 by 巡禮者
탁희성 화백 그림과 약력은
탁희성 화백은 누구인가
순교자 성월순교자 성월에 / 이름없는 풀꽃 -류해욱 신부님
2011.09.01 by 巡禮者
(17) 최창현
2010.12.14 by 巡禮者
(16) 조용삼 베드로
(15) 이보현 프란치스코
(14) 인언민 마르티노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1) 윤지충 천주교식 장례에 화를 내는 종친들 평화신문은 103위 시성 25주년을 맞아 이번 호부터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을 연재한다. 죽정 고 탁희성(비오, 1915-1992) 화백의 유작 성화들을 '하느님의 종 124위'를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신앙선조들의 믿음의 ..
순교자 2013. 2. 14. 12:18
탁희성 화백 그림과 약력은 한국교회사 주요 사건. 순교자 삶 그려 ◇ 어떤 그림들인가 이번에 연재하는 고 탁희성 화백 그림들은 고인의 둘째 아들 탁동호(시몬, 68)씨가 소장하고 있는 고인의 원본 작품들이다. 한국 천주교회 초기교회사 주요 사건들과 인물들, 특히 순교자들의 삶을 그..
순교자 2013. 2. 14. 12:13
[그림으로 보는 순교자 열전] 탁희성 화백은 누구인가 1960년대 중반 이후 성화 작품에 심취 1915년 7월 29일 서울에서 출생한 죽정 탁희성(비오) 화백은 춘천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은사인 석흑의보 선생 문하생으로 입문, 동양화를 전수하고 궁중화가 길에 들어섰다. 1960년 가..
순교자 2013. 2. 14. 12:07
이름없는 풀꽃 9월은 우리 신앙의 선조들을 기리는 순교성월이다. 이 기간 동안이라도 조금 더 각별한 마음으로 순교의 믿음을 새기고 순교의 정신을 기리며 지냈으면 한다. 우리 나라는 세계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방법으로 천주교가 전래되었고, 거룩한 순교의 피 위에서 영광의 ..
순교자 2011. 9. 1. 14:11
(17) 최창현 판관에게 호교문을 최창현(요한, 1759~1801)은 1759년 한양의 역관 집안에서 태어났다. 1795년에 순교한 역관 최인길(마티아)이 집안 아저씨뻘 된다. 1784년 겨울, 한국 천주교회가 창설된 직후에 교리를 배워 입교했다. 글을 잘 알았던 그는 한문으로 된 교회 서적을 조선말로 번역했고, 그가 번역..
순교자 2010. 12. 14. 18:35
(16) 조용삼 베드로 두 아들을 데리고(제57도) 조용삼(베드로, ?~1801)은 경기도 양근 태생으로 일찍 모친을 여의고 부친 슬하에서 자라났다. 집안이 가난한 데다 병약하고 용모도 불품 없어 서른 살이 되도록 혼례도 올리지 못했다. 그러다가 아버지와 함께 여주에 사는 임희영의 집에서 살게 됐는데 이때..
순교자 2010. 12. 14. 18:25
(15) 이보현 프란치스코 장살(제58도) 이보현(프란치스코, 1773~1800)은 충청도 덕산 황모실(현 충남 예산군 고덕면 호음리)의 부유한 양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무도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난폭한 성격이었으나 20살이 넘어 황심(토마스)에게 교리를 배워 천주교 신앙에 귀의한 후에는 성격을 고쳤다고 ..
순교자 2010. 12. 14. 18:19
(14) 인언민 마르티노 역참에서 역참(제59도) 인언민(마르티노, 1737~1800)은 충청도 덕산 주래(현 충남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황사영(알렉시오)에게서 천주교 신앙을 듣고 교리를 배운 후 주문모 신부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1797년에 시작된 정사박해가 한창 진행되던 어느날, ..
순교자 2010. 12. 14. 18:17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