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대(靑黛)

동물식물자료/약용식물

by 巡禮者 2013. 9. 30. 14:29

본문

청대(靑黛-Persicaria tinctoria H. Gross)

 

 

(식물)  [Polygonum tinctorium] :

 

마디풀과(―科 Polygonaceae)에 속하는 1년생초.
 
키는 50~70㎝ 정도 자라며, 줄기는 홍자색을 띤다. 긴 타원형의 잎은 어긋나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줄기를 감싸는 얇은 턱잎[托葉]은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연한 붉은색의 꽃은 8~9월경 줄기 끝에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덮이조각[花被片]은 5장, 수술은 6~8개이고, 암술은 1개인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져 있다. 세모진 긴 알처럼 생긴 열매는 익으면 흑갈색이 된다. 초록색의 잎은 말리면 짙은 남색으로 변하는데, 한때 옷감이나 실을 물들이기 위해 심었으나 지금은 인조 물감에 밀려 많이 심지 않는다. 그러나 쪽에서 추출한 남색은 오래 지나도 색이 변하지 않고 빛깔이 고와 아직도 특수 직물을 물들이는 데 쓰고 있다. 남색의 즙(汁)은 치통의 진통제로 쓰이며, 열매는 독충에 물렸을 때 해독제로도 쓴다. 아시아 온대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심어왔으나 언제부터 심어왔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쪽에서 우러나온 푸른빛이 쪽보다 더 푸른 것을 빗대어 스승에게서 배운 제자가 스승보다 더 뛰어날 때, 그 제자를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한다.

 

 
 

[항암 해독 백혈병에 효험] 

 

▶ 항암작용, 항균작용(억균작용), 간 기능 보호작용, 청열작용, 해독작용, 소아경풍, 폐열로 인한 기침, 끈끈한 가래가 나올 때, 습진, 어린이가 고열이 나면서 경련이 이는 데, 헌데, 단독, 반진, 악창, 전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오슬오슬 추우며 열이 나는 데, 혈열로 인한 토혈, 구강궤양, 은설병, 구내염, 피부발진, 토혈, 각혈(피가래), 구내염, 치주염, 편도염, 이하선염, 코피, 볼거리염, 온열병으로 인한 발진, 인후종통, 종독, 만성 백혈병을 다스리는 청대

청대(靑黛)는 여뀌과(마디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Polygonum tinctorium Lour. 또는 Persicaria tinctoria Ait)과 배추과(십자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대청(Isatis japonica Miq), 쥐꼬리망초과 식물 마람(馬藍), 콩과 식물 목람
(木藍)의 전초를 가공하여 만든 색소이다. 쪽은 들의 도랑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50~80센티미터 정도이다. 줄기는 원주형이며 뚜렷한 마디가 있다. 잎은 단엽으로 어긋나다. 꽃이 작고 홍색이며, 꽃잎은 5갈래이며 수술은 6~8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갈색이며, 세 개의 능선이 있다. 

쪽뿌리를 남근(藍根), 쪽씨를 남실(藍實), 쪽잎을 남엽(藍葉)이라고 부르며 모두 약용한다.

청대의 다른 이름은
청대[靑黛: 약성론(藥性論)], 전화[靛花: 간편단방(簡便單方)], 청합분[靑蛤粉: 본초강목(本草綱目)], 남로[藍露, 정화:淀花: 수판발몽(手板發蒙)], 전말화[靛末花] 등으로 부른다. 

[조제]

여름과 가을에 경엽을 채취하여 깨끗한 물에 2~3주야를 담가 둔다. 잎이 흐물흐물해지면 가지를 제거하고 잎 100근 당 석회(石灰) 한근을 넣고 충분히 젓는다.

추출물이 자홍색이 될 때 물위의 거품을 걷어내고 말린 것이 청대(靑黛)인데 이것이 품질이 제일 좋다. 거품이 적어지면 2~3시간 침전시켜 위의 맑은 물을 버리고 침전물을 여과하여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저어서 거품을 일으킨다. 그 거품을 떠내어 말리면 역시 청대(靑黛)가 생성되는데 그 물질은 조금 못하다.

 

]

 



[약재]

회남색 또는 짙은 남색의 매우 부드럽고 잘 날이는 가루이다. 손이나 종이에도 달라 붙는다. 풋내가 나며 조금 신맛이 있다. 물에 뜰 정도로 가볍고 부드러우며 태울 때 자홍색의 불꽃이 나는 것이 품질이 좋다.

무겁고 단단하며 백색점이 있는 덩어리로, 물에 넣어 알맹이가 가라앉는 것은 질이 떨어지는 것이다.

[성분]

만성 과립구(顆粒球) 백혈병(白血病)의 유효 성분인 indigotin, indirubin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목람(木藍)에서 얻은 청대(靑黛)의 알코올 침액(0.5g/ml)은 체외에서 탄저균, 폐염간균, 적리균, 콜레라균, 황색과 백색 포도당구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그러나 어떤 보고에는 장티푸스균, 콜레라균, 포도당 구균과 결핵균 등에 대해 억제 작용이 없다고 하는데 약물의 추출 방법이 다르기 때문인 것 같다.

[법제]

청대(靑黛): 불순물을 제거하고 체로 친다.

비청대(飛靑黛): 체로 쳐서 불순물을 버리고 막자 사발에 넣고 적량의 물을 넣고 곱게 간다. 다시 물을 넣고 가볍게 저어서 미세한 가루를 물에 뜨게 하여 그것을 다른 그릇에 쏟아 부어 침전되면 윗물을 쏟아낸 후 침전된 분말을 백지를 깐 채 위에 펴서 말려 곱게 가루낸다.

 

 



[성질과 맛]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1, <약성론>: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개보본초>: "맛은 짜고 성질은 차며 무독하다."
3, <의림찬요>: "맛은 맵고 짜다."
4, <본초재신>: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무독하다."

[귀경]

간(肝), 폐(肺), 위(胃)의 3경(經)에 들어간다.
1, <뇌공포제약성해>: "간(肝), 비(脾)의 2경에 들어간다."
2, <본초구진>: "오로지 간(肝)에 들어간다."
3, <본초경독>: "간(肝), 폐(肺),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혈(血)을 맑게 하고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며 해독한다. 온병(溫病)으로 몹시 나는 열(熱), 반진(斑疹), 토혈, 피가래, 경풍, 창종(瘡腫), 단독(丹毒), 사충교상(蛇蟲咬傷: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등을 치료한다.

1, <약성론>: "소아 감열(疳熱), 여위는 것을 치료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2, <본초습유>: "해독한다. 소아 단열(丹熱)에는 물에 풀어 복용시킨다."
3, <개보본초>: "모든 약독, 소아의 모든 열, 놀라며 나는 열, 유행성 두통, 한열(寒熱)을 푸는 데는 탕액을 복용한다. 또한 열창(熱瘡), 악종(惡腫), 금창(金瘡), 하혈, 뱀이나 개 등의 독에는 문질러 스며들도록 바른다."
4, <본초몽전>: "간기(肝氣)를 사하하고 심한 설사를 멎게 하며 상격담수(上膈痰水)를 제거하고 유행성 질환으로 인한 두통을 치료하며 상한적반(傷寒赤班)을 수렴한다. 물로 복용한다."
5, <본초강목>: "열번(熱煩), 토혈, 피가래, 반창(斑瘡), 음창(陰瘡)을 제거하고 악충(惡蟲)을 죽인다."
6, <본초술>: "중풍, 두풍(頭風), 협통(脇痛), 계종(瘈瘲), 전진(颤振), 현기증, 해수, 만성 해수, 구토, 설뉵(舌衄), 해수혈(咳嗽血), 퇴산( 疝)을 치료한다."
7, <본경봉원>: "온독발반(溫毒發斑) 및 산후 열리하중(熱痢下重)을 치료한다."
8, <요약분제>: "열을 제거하고 해독하며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한다."
9, <영남채약록>: "창(瘡)과 이하선염에 도포할 수 있다."

[용법과 용량]

내복: 5~8푼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말려서 산포하거나 물에 개어 바른다.

[배합과 주의사항]

<본초종신>: "중한(中寒)인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청대, 쪽의 씨앗, 쪽의 잎, 쪽의 뿌리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청대(靑黛) //전화(靛花), 남로(藍露)// [본초]

여뀌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Polygonum tinctorium Lour. 또는 Persicaria tinctoria Ait.)과 배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대청(Isatis japonica Miq.)의 전초를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쪽과 대청은 각지에서 심는다. 쪽 또는 대청의 전초를 항아리에 넣고 물을 둔 다음 2~3일 동안 발효시킨다. 잎이 줄기에서 떨어질 정도로 되면 쪽 또는 대청을 건져 버리고 우림액에 석회(약재의 약 1/10량)를 넣고 충분히 저어준다. 우림액이 어두운 풀색에서 붉은 보라색으로 변할 때 위에 뜨는 남색의 거품을 걷어내어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열(熱)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분(血分)의 열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우림액은 탄저균, 폐렴간균, 이질균 등에 대하여 억균작용을 나타내며 주요성분인 인디루빈은 항암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반진, 어린이가 고열이 나면서 경련이 이는 데, 헌데, 단독, 악창, 전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오슬오슬 추우며 열이 나는 데, 혈열(血熱)로 인한 토혈, 피가래, 코피, 구내염, 치주염, 습진, 편도염, 이하선염 등에 쓴다. 최근에는 백혈병에 써서 효과를 보고 있다. 

하루 1.5그램에서 3그램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또는 알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를 뿌리거나 기초제에 개어서 바른다.

남실(藍實) //쪽씨, 남자(藍子)// [본초]

여뀌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쪽(Persicaria tinctoria Spach. 또는 Polygonum tinctorium Ait.)의 씨를 말린 것이다. 쪽은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열매가 익을 때 열매 이삭을 베어 말려서 씨를 털어 낸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온열독(溫熱毒)으로 인한 발진, 인후통, 헌데 등에 쓴다. 하루 3~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남엽(藍葉) //쪽잎// [본초]

여뀌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쪽(Persicaria tinctoria Spach. 또는 Polygonum tinctorium Ait.)의 잎을 말린 것이다. 쪽은 각지에서 심는다. 여름에 잎을 따서 말린다.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차다. 주로 심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熱)을 내리고 열독(熱毒)을 비롯한 여러 가지 독을 풀며 출혈을 멈춘다. 부스럼, 습진, 단독, 독충에 쏘인 데 등에 쓰는데 탕액으로 씻거나 생즙을 내어 바른다. 청대 만드는 원료로도 쓰고 예로부터 청색물감원료로도 써 왔다.

쪽뿌리는 만성간염, 유행성 이하선염에 쓰는데 하루 5~10g을 물로 달여 먹는다.]

 

 

 



청대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청대(靑黛)

마디풀과(여뀌과)의 여러해살이풀 쪽(Persicaria tinctoria H. Gross)의 잎을 물에 2~3일간 담갔다가 짓찧어 찌꺼기는 버리고 즙 5kg에서 석회 500g을 넣고 충분히 저은 다음 위에 뜨는 거품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이다. 열매를 남실(藍實)이라고 한다.

성미: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양혈소종(凉血消腫)

해설: 청대는 ① 고열로 인한 소아경풍에 쓰고, ② 폐열로 기침과 연달아 하고 끈끈한 가래가 나올 때 쓰며, ③ 습진과 구내염 등에 외용한다. ④ 열독을 내리므로 피부발진, 토혈, 각혈, 코피 등에 활용되며, ⑤ 볼거리염에 내복, 외용한다.

남실은 ① 청열, 해독 작용이 있어서 온열병(溫熱病)으로 인한 발진, 인후동통, 종독을 풀어주며, ② 독극물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다. 

성분: indigotin 5~8퍼센트, isata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암세포의 핵산 대사를 억제시키고, ② 달인물은 황색포도상구균, 탄저균, 이질균, 콜레라균에 항균작용이 있다. ③ isatan은 간 기능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 보고: ① isatan 성분은 만성 백혈병에 항암 작용을 나타내고, ② 코피가 날 때에는 가루를 코에 삽입하여 지혈시킨다. ③ 구강궤양에도 현저한 반응을 보였으며, ④ 은설병에 8주일간의 치료로 억제 작용을 얻었다.]

쪽의 열매에 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남실(藍實)

기원: 료과(蓼科=마디풀과: Polygonaceae)식물인 료람(蓼藍: Polygonum tinctorium Ait.)의 과실(果實)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50∼80cm정도이다. 줄기는 원주형(圓柱形)이며 뚜렷한 마디가 있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엽저는 채찍 모양의 막질(膜質) 탁엽(托葉)이 있고 엽편(葉片)은 타원형(橢圓形) 또는 원난형(圓卵形)으로 길이는 2∼8cm이며 기부(基部)가 아래로 늘어져 있다. 화서(花序)는 수상화서(穗狀花序)로 꽃이 작고 홍색(紅色)이며, 꽃잎은 5갈래이고, 수술은 6∼8개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색(褐色)이며 세개의 능선(稜線)이 있다.

분포: 광야의 도랑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섬서(陝西)등지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거두어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온열발반인통(溫熱發斑咽痛), 감식(疳食), 종독(腫毒), 창절(瘡癤), 해독약(解毒藥), 독전(毒箭).
용량: 하루 5∼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외용시에는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101.]

 

 



◆ 청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상한홍반(傷寒紅斑)
청대 2냥을 물에 개어 복용한다. [유증활인서(類證活人書)]

2, 임신상한(妊娠傷寒), 열울양명(熱鬱陽明), 고열로 생기는 자흑반(紫黑斑), 맥홍수(脈洪數), 서둘러 치료하지 않으면 유산의 위험이 있는 증상
진청대(眞靑黛) 1돈 반, 신선한 생지(生地) 2냥(찧은 즙), 생석고(生石膏), 8돈, 승마(升麻) 6푼, 황령(黃苓), 2돈, 초치자(焦梔子) 3돈, 총두(葱頭) 3개를 달여 복용한다. [중정통속상한론(重訂通俗傷寒論), 청대석고탕(靑黛石膏湯)]

3, 멎지 않는 토혈
청대 2돈을 물에 풀어 복용한다. [단효방(端效方), 청금산(靑金散)]

4, 객혈(피가래)
청대 1돈, 황명납(黃明蠟: 껍질과 싹을 제거한 것)으로 누렇게 될 때까지 가열하여 가루낸 행인(杏仁: 살구씨) 40알을 함께 곱게 갈아 소량의 납(蠟)에 녹여서 섞은 후 반죽하여 동전 크기의 납작한 떡 모양을 만든다. 건시(乾枾) 1개를 반으로 갈라 떡을 안에 넣고 젖은 종이로 싸서 약한 불에 구워 익혀서 찹쌀죽과 함께 씹어 삼킨다. [중장경(中藏經), 성병자(聖餠子)]

5, 담해(痰咳)가 나오는 증상, 안비발홍(顔鼻發紅)
청대(수비하여 가늘게 하여 햇볕에 말려 다시 간 것) 4돈, 합분(蛤粉) 3돈을 꿀로 개어 손톱 크기의 환을 지어 자기 전에 3환을 입안에 넣고 빤다. [의학종중록(醫學從衆錄), 청대합분환(靑黛蛤粉丸)]

6, 열담(熱痰)을 동반하는 폐경해(肺經咳)
청대, 해석(海石), 과루인(瓜蔞仁), 천패모(川貝母)
[증인맥치(症因脈治), 청대해석환(靑黛海石丸)]


7, 소아 경간(驚癎)
청대 적량을 물에 개어 복용시킨다. [생생편(生生編)]

8, 산후 발광(發狂)
사물탕(四物湯)에 청대를넣고 달여 복용한다. [적원방(摘元方)]

9, 위통(胃痛), 병이 오래 되어 울(鬱)하고 그로 인하여 열이 생긴 증상
청대를 강즙(薑汁)에 넣어 복용한다. [의학정전(醫學正傳)]

10, 구설창(口舌瘡)
청대 1돈, 세신(細辛) 1푼, 황백(黃柏: 잘게 자른 것) 1푼, 지골피(地骨皮) 1푼, 밀타승(密陀僧: 연(鉛)을 산화시킨 가루) 1푼을 찧어 체에 쳐서 가루로 한다. 소량을 창(瘡)에 바른다. 타액이 나오면 뱉어 버린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1, 모든 열독(熱毒), 농와창(膿窩瘡)
청대 1냥, 한수석(寒水石: 무를 때까지 센불에 구운 것) 1냥을 곱게 가루내어 참기름으로 개어 바른다. [보제방(普濟方), 청금산(靑金散)]

12, 천포창(天泡瘡)
청대 적량, 신선한 사과엽(絲瓜葉: 수세미 잎)을 찧은 즙을 환부에 바른다. 소량의 채종유(菜種油)를 조금 섞어도 된다. [험방선집(驗方選集)]


 

13, 소아 습선침음창(濕癬浸淫瘡)
백교향(白膠香) 2냥, 합분(蛤粉) 반냥, 청대 2돈 반을 곱게 가루내어 마른 것을 창(瘡)에 바른다. [전씨보영집(田氏保嬰集), 청금산(靑金散)]

14, 나력(瘰癧)인데 아직 터지지 않은 경우
청대, 쇠비름을 같이 찧어서 매일 바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15, 이감출즙(耳疳出汁)
마른 청대, 황백(黃柏) 가루를 바른다. [담야옹시험방(談埜翁試驗方)]

16, 난현풍안(爛弦風眼)
청대, 황련(黃連)을 담근 물에 매일 씻는다. [명목경험방(明目經驗方)]

17, 독충(毒蟲)에 물린 상처
청대, 웅황(雄黃)을 같은 양으로 가루내어서 갓길어 온 물로 2돈을 복용한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18, 비출혈(鼻出血)(임상보고)
확대기(擴大器)로 전비공(前鼻孔)을 넓혀 출혈 부위를 확인한 후 소독한 솜에 청대 가루를 묻혀 코에 넣고 출혈 부위를 누른다.

이때 환자에게는 잠시 동안 호흡을 정지하도록 한다.

20례의 치료에서 13례는 1회, 4례는 2회, 2례는 3회로 출혈이 멈추었으며 1례는 무효였다. [중약대사전]

쪽과 대청이 물과 석회를 만나 발효시킨 청대는 발효를 통해서 약초의 성분을 이용한 전통 방법중의 하나이다. 쪽과 대청으로 가공하여 만든 청대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글/ 약초연구가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