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매일 더위와의 전쟁중
폭염에 계속 노출땐 체온조절 기능 스톱, 물 자주 마시고 얼음찜질로 응급처치를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몸이 축축 늘어진다. 그러나 그 순간에도 우리 몸은 더위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기온이 1도 올라간다고 해서 체온도 1도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뇌의 시상하부가 몸속 장기 온도를 36∼37도로 조절하기 때문이다. 에어컨이나 보일러를 사용할 때 설정하는 '희망온도'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문제는 요즘처럼 매일 기온이 34도를 넘을 때다. 무더운 여름철에도 실내에 있으면 손과 하반신의 피부온도는 31∼34도로 유지된다. 그러나 햇볕에 노출되면 피부온도는 급격히 올라간다. 김성준 서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는 "손발의 피부온도가 34.5도를 넘기 시작하면 몸속의 장기들이 열을 빼낼 통로를 확보하지 못해 내부 장기의 온도가 37도를 넘어서게 된다"고 말했다.보통 체온이 1도 오르면 뇌의 온도는 0.5도씩 오른다. 폭염에 노출돼 피부온도가 34.5도를 넘어서고, 체온이 39도까지 오르면 탈진 상태가 된다. 41도를 넘어서면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 이 정도가 되면 뇌의 시상하부는 체온 조절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노인 폭염 사망자가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노인의 경우 땀샘 분비가 줄어든 데다 체온 조절 중추 기능이 원활하지 않아 신체의 열 변화를 잘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결국 폭염 피해를 줄이려면 '희망온도' 기능부터 되살려야 한다. 피부가 다소 뜨거워졌다고 해서 걱정할 일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몸속 장기의 온도를 낮추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섭취해야 한다. 물은 한 번에 많이 먹기보다 조금씩 틈나는 대로 마시는 게 좋다.냉찜질이나 찬물 목욕은 일시적으로 피부온도를 낮춘다. 그러나 장기 온도를 낮추지는 못한다. 오히려 낮아진 피부온도를 높이기 위해 혈관이 확장되면서 체온이 더 올라갈 우려가 높다.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는 게 좋은 이유다.그러나 유난히 덥거나 뜨겁다고 느낄 때는 일시적으로 얼음찜질을 하는 게 좋다. 다만 이 경우 빨리 열을 떨어뜨릴 수 있는 부위를 골라 찜질을 해야 한다. 김기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얼음주머니를 전신에 문지르는 것보다 사타구니, 겨드랑이, 목과 쇄골 사이 등 3곳이 얼음찜질 효과를 보기에 가장 좋은 부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