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7년은 세계사에서 가장 중요한 해 중 하나로 통합니다. 가톨릭에 저항하는 개신교의 움직임이 본격화한 시기여서입니다. 독일의 신학자 마르틴 루터는 면죄부 남발을 비판하는 ‘95개조 반박문’을 공개하면서 종교개혁의 불을 붙였습니다.
가톨릭에 항의하는 독일의 성직자 마르틴 루터를 묘사한 1877년의 그림. 안톤 폰 베르너의 작품.
‘신학적 견해’의 대립만 구교(가톨릭)와 신교(개신교)를 가른 요소는 아니었습니다. 역사학자들은 ‘한 음식’을 둔 미세한 견해차가 갈등을 불렀다고도 지적합니다. ‘버터‘가 그 주인공입니다. 음식의 풍미를 더 하는 버터가 어쩌다 종교개혁을 부른 원인으로 지목됐을까요.
맛있는 음식은 빠르게 전파되기 마련입니다. 유목민들의 음식이 고대 문명에까지 영향을 미쳤지요. 기원전 2500년 수메르 문명의 기록에는 소의 젖으로 어떻게 버터를 만드는지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야, 우유가 굳으니까 JMT가 됐는데~” 전통적 방식으로 버터를 만드는 팔레스타인 사람들. 1914년 내셔널지오그래픽 사진.
“소젖을 굳혀서 먹는다고?” 고대 로마 도시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된 ‘올리브 화관을 쓴 여인’. 서기 79년 작품 추정.
“나도 올리브를 먹고 싶지만, 우리 마을에선 자라지를 않는다네.” 트라키아 부족의 왕인 세우테스 3세. [사진출처=QuartierLatin1968]
버터가 사회적 문제로 지적된 건 14세기부터였습니다. 흑사병이 시작되면서 기독교 교리도 점점 엄격하고 보수적으로 변해가던 시기였지요. 당시 가톨릭은 사순절과 금요일에는 육식을 금했습니다. 유제품·달걀·버터도 마찬가지로 먹을 수 없었지요. 이런 제품들은 성욕을 부추기는 음식이었으니, 성스러운 날에는 피해야만 했던 것이었습니다. 버터 역시 ‘금식령’을 피할 순 없었습니다.
“고기, 안먹는다네.” 광야에서 유혹을 받은 예수. 제임스 티쏘의 1886년 작품. 사순절은 예수가 약 40일간 광야에서 금식하면서 사탄의 유혹을 견딘 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남부와 같은 지중해에 면한 나라들은 금식일을 여유롭게 지킬 수 있었습니다. 고기나 유제품 대신 먹을 게 지천에 널렸기 때문이었지요. 올리브기름도 풍부했고, 싱싱한 해산물은 사람들의 입을 즐겁게 해줬습니다.
그들에게 고기와 유제품은 ‘잠시 참을 수 있는’ 선택지에 불과했지요. 더구나 이들은 ’버터‘를 여전히 야만적인 음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북부 지방을 여행할 때면 직접 기름을 가지고 다니곤 했을 정도였지요. 버터를 먹게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버터 금지령’이 남유럽 사람들에겐 전혀 타격없는 규제였던 것이지요.
“고기가 없으면, 생선을 먹으면 되지 않나 ㅎㅎ” 스페인 화가 호아킨 소로야의 ‘엘 페스카도’(물고기) 1915년 작품.교황청도 ‘버터 금지령’이 북북 유럽에서 얼마나 허황한 것인지는 알고 있었습니다. 축산업이 기반인 나라들의 시민들에게 “귀리만 먹고 살라”고 요구하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교리를 무시하고 마냥 허가를 해줄 수는 없는 노릇이었지요. 그들은 신자들에게 요구합니다. 죄를 면하게 해줄 대가를요. 바로 ‘면죄부’였습니다.
“이봐, 고기가 먹고 싶다며, 이걸 사게나.” 면죄부를 판매하는 이를 악마로 묘사한 1490년대 체코의 그림.
프랑스 북서부 지방 루앙의 교구에서는 ‘버터 면죄부’로 천문학적인 수입을 거두기도 했습니다. 넉넉한 수입에 루앙 대성당에 두 개의 탑을 추가하기도 했었지요. 사람들이 이를 ‘버터타워’라고 부른 배경이 여기에 있습니다.
클로드 모네의 루앙대성당 1894년. 루앙대성당은 버터타워부터 모네의 작품까지 수 많은 이야기 거리로 가득한 명소다.프랑스 루앙 대성당의 La tour du Beurre. 버터 타워라고 불린다. [사진출처=giogo]
잘못된 정치는 개혁가를 소환하기 마련입니다. 대표적 인물이 독일의 수도사 마르틴 루터였습니다(그 역시 고기와 버터를 즐기는 독일인이었지요). 그는 ‘그리스도교 신도들에게 보내는 연설’이라는 글에서 버터면죄부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버터 금지령을 푼다면, 유혈사태는 피할 수 있을 것이오.” 마르틴 루터의 초상화. 루카스 크라나흐의 1546년 작품.
가톨릭교도들은 버터를 먹는 일이 거짓말을 하거나 신을 모독하거나 부정을 탐하는 것보다 더 나쁜 죄악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
“개신교라는 거 믿으면 버터를 먹을 수 있다는데...” 버터를 만드는 프랑스 파리의 한 여인을 묘사한 1499년 그림.
1869년 화학자 이폴리트가 마침내 소의 지방을 이용, 버터와 유사한 식감을 내는 제품을 개발합니다. 후대 사람들은 이를 ‘마가린’이라 불렀습니다.
“버터보다 싼 마가린 드셔보세요.” 1893년 네덜란드 마가린 광고.
선조들은 이를 ‘수유’라고 불렀지요. 우유기름이라는 의미였습니다. 소는 당시 경작용으로만 사용됐기에 수유 생산량은 극히 미미했지요. 왕족이나 고관대작들의 몸보신용으로만 쓰인 사치품이었습니다.
“자 버터, 아니 수유 한번 잡숴들봐.” 조선에서도 버터와 비슷한 수유라는 식품이 북방 기마족에 의해 전파된 걸로 알려져 있다. 몽골 사냥꾼을 묘사한 명나라 그림.이 공간을 수유치라 불렀습니다. 수유를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고되고 노하우가 필요한 일이었기에 이에 대한 대가가 필요했습니다. 군역을 면제시켜주는 것이었지요.
“병역 면하려는 자가 많으니 수유치를 없애라.”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이 폐단을 막고자 수유치를 폐지합니다. 만약 지금까지 수유치가 남아있었다면, 우리나라도 꽤 근사한 버터를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버터의 풍미가 세계사와 우리 역사에도 진하게 배어 있는 셈이지요.
조그만 버터에도 수 많은 역사가 오롯이 새겨져 있다.
ㅇ중세 교황청은 사순절, 축일, 금요일에 육식·유제품 금지 원칙을 세웠다.
ㅇ남부 유럽은 해산물·올리브 등 먹을 것이 풍부해 이를 잘 지킬 수 있었지만, 축산 위주인 북부 유럽은 이를 잘 지키지 못했다
ㅇ교황청은 ‘금식’을 어기고 버터를 먹는 북부 유럽인들에게 ‘면죄부’를 살 것을 요구했다
ㅇ이는 가톨릭과 개신교를 분리한 종교개혁의 원인이 됐다. ’버터 금지령‘의 나비효과였다.
<참고문헌>
ㅇ마귈론 투생 사마, 먹거리의 역사, 까치글방, 2002
ㅇ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강영운 기자(penkang@mk.co.kr)입력 2024. 2. 4
춭처 : 매일경제 & mk.co.kr
고지방·고설탕 음식, 유난히 과식하는 이유 밝혀져 (0) | 2024.02.04 |
---|---|
"하루 커피 2~3잔 마시면"…'이 환자' 간섬유화 위험 뚝 (0) | 2024.02.04 |
'신들의 의사' 파이온이 상처에 사용한 약재 (0) | 2024.02.01 |
화살나무 추출물, 관절염 치료약보다 효능 3배 크다 (0) | 2024.02.01 |
"갑자기 복통에 황달" 그땐 이미 늦었다…4050 암 사망률 1위 '이것'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