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본(Angelica tenuissima)

동물식물자료/약용식물

by 巡禮者 2010. 10. 6. 17:05

본문

 

 

 

.깊은 산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에는 잎집이 있다.

 

3회 깃꼴겹잎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8∼9월에 흰색 꽃이 겹산형꽃차례로 피는데 큰꽃자루는 10개 정도이며 작은꽃자루는 20∼22개이다. 총포조각은 1개가 크고 작은총포조각은 줄 모양이며 많다. 화관은 작고 꽃잎은 5개이며 안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자줏빛 꽃밥이 달린다.

 

열매는 분과(分果)로 납작한 타원형이며 날개가 있다. 씨방은 1개로 타원형이며 꽃받침 아래 위치한다.한방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말린 것을 고본이라 하여 두통·관절통·치통·복통·설사·습진 등에 처방한다. 한국(경남·경북·충남·충북·강원·평북)에 널리 분포한다.  

 

[고본의 효능]

고본은 두통, 치통의 통증에 응용하고 주로 감기로 인한 두통, 발열, 기침과 가래, 콧물, 코막힘 등의 병증에 활용한다. 팔다리 동통이나 몸이 저릴 때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활용한다.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좋고 피부 가려움증과 옴, 습진을 치료하고 특히 앞머리가 아플때 좋다.

 

맛은 맵고 따뜻하다. 매운맛은 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발열, 해수, 가래, 콧물에 사용하고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사지 마비관절동통에 강활, 방풍, 위령선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두정통(頭頂痛)에 즉 머리가 아픈 것을 그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데, 정유 성분은 진정, 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 장관(腸管)과 자궁 평활근을 억제시키고 백선균에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신경성 피부염, 가려움증, 피부의 발진을 소실 시킨다.

 

뿌리를 약으로 이용하는데 특히 고본은 향기와 색소가 좋아 고본차, 고본술 등 식품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성분은 뿌리줄기에 약 0.5%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주 성분은 3- butylidenephthalide senkyunolid, cnidilide, ligustilide이며, 종자에는 β-sitosterol, prangol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북한의 <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부와 북부에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방광경에 작용한다. 풍한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한다. 풍한두통, 풍한표증, 치통, 창상, 옴 등에 쓴다. 하루 4~8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중국의 <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고본(藁本), 기원은 傘形科(산형과:Umbelliferae)식물인 藁本(Ligusticum sinense Oliv.)의 근경과 뿌리이다. 형태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의 기부는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넓게 퍼져있고, 2∼3회 우상복엽(羽狀複葉)인데 제1회 裂片은 3∼4쌍으로 가장 밑부분에 있는 한 쌍의 소엽(小葉)에만 자루가 있고,

 

제2회 열편(裂片)은 3∼4쌍으로 전부 자루가 있으며, 복취산화서(複聚傘花序)가 정생(頂生)하며 총포편(總苞片)은 6∼10개이고, 소산형화서(小傘形花序)에도 총포편(總苞片)이 있다. 꽃은 작고 꽃받침에는 거차가 없으며 꽃잎은 白色이고 수술은 5개이다. 쌍현과(雙懸果)는 과실의 등쪽에 돌기가 있으며, 옆쪽에 있는 능선에 날개가 있고, 油管이 3개이며 合生하는 면은 5개이다.

 

분포는 산비탈의 풀밭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은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cnidilide등이다. 기운과 맛은 맵고 따뜻하다. 효능은 산풍거한(散風祛寒), 정통제습(定痛除濕)이며, 효능은 풍한외감(風寒外感), 두정두통(頭頂頭痛), 부인산증(婦人疝症), 한습복통설사(寒濕腹痛泄瀉)를 치료하며, 외용약으로는 개선(疥癬) 즉 옴과 버짐을 낫게한다. 하루 3~9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외용약으로 사용시는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이명 :미경(微莖), 지신(地新), 울향(蔚香), 귀경(鬼卿)

약효 :거풍(祛風)·산한(産寒)·제습(除濕)·지통(止痛)의 효능이 있어 풍한감모(風寒感冒)·전정종통·풍습지질(風濕肢節)·비통을 치료한다.

독성 :무독(無毒)

채집시기/산지 :우리나라에는 화고본이 전국 각지의 고산에 자생한다. 약재는 봄·가을에 채취한다.

가공 :햇볕에 말려 사용

주의 :혈허(血虛)로 인한 두통(頭痛)이 있는 경우는 복용을 금한다. 허약증에는 피한다. 열로 인한 두통, 혈분이 모자라서 생기는 두통에는 금한다.  

 

두통, 모든 통증과 진경제 : 고본의 뿌리를 1일량 5~10g에 400cc 물을 넣어 1/2 가량이 되도록 끓여서 복용한다.

 

외용약 :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두통 :하루 6~8g을 물 200㎖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거나 또는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3번 먹기도 한다. 이 약은 진정 및 통증완화, 해열작용이 있으므로 감기로 오는 두통에 좋다.

 

뒷머리가 아플 때 :고본 10 ∼ 15g을 물 200ml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

160 가지 풍병과 두풍 :고본 40g을 물에 끓여 먹는다.

진통작용이 있어 신경쇠약으로 머리가 아픈 증상 :고본을 보드랍게 가루 내어 하루 6~9g을 2~4번에 나누어 아무때나 먹는다. 10~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어도 된다.

 

신경쇠약증(신경증, 노이로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하루 6~9g을 2~4번에 나누어 아무때나 먹는다. 10~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어도 된다. 이 약은 진통작용이 있어 신경쇠약으로 머리가 아픈 증상에 효과가 있다.

부인병(婦人病)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泄瀉)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습진(濕疹) :뿌리를 달여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준다.

 

옴(개선:疥癬) :뿌리를 삶아서 그 물로 10회 정도 환부를 씻는다.

♠ 뒷머리가 아플 때는 고본 10 ∼ 15g을 물 200ml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

♠ 160 가지 풍병과 두풍에는 고본 40g을 물에 끓여 먹는다.

♠ 진통작용이 있어 신경쇠약으로 머리가 아픈 증상에 고본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하루 6~9g을 2~4번에 나누어 아무때나 먹는다. 10~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어도 된다 .

 

 

 

 고본[藁本]

다른이름 : 地新(지신),蔚香(울향),山茝(산채),微莖(미경),鬼卿(귀경),藁茇(고발)
약       맛 : 신(辛)     
귀       경 : 방광(膀胱)    
주       치 : 寒濕泄瀉,寒濕腹痛,皮膚濕疹,風寒濕痺,風寒頭痛,風濕頭痛,巓頂頭痛,外陰部濕疹,外感風寒,頭部白癬

 

약용부위 : 뿌리줄기와 뿌리
처       방 : 강오탕(羌吳湯 ) : 의학입문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 의학입문
금       기 : 血虛頭痛, 虛熱이 있는 者는 복용을 忌한다.
효       능 : 去濕止痛,發表解表,止痒

 

주치증상 : <本經>에서는 “여성의 하복부에 극심한 통증, 癥瘕, 생식기가 차고 붓고 통증이 있는 증상, 배가 당기는 증상, 두통을 치료한다. 살을 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別錄>에서는 “濕邪를 제거하고 風邪를 제거하고 金瘡을 치료한다. 목욕제와 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라고 하였다.

 

甄權은 “160종의 전염병을 치료할 수 있고 風邪가 허리로 들어가 통증과 冷症을 발생시키는 것을 치료한다. 小便을 시원하게 하고 血을 잘 통하게 하고 잘 낫지 않는 두통과 기미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池大明은 “사마귀, 기미, 딸기코, 여드름, 癎疾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張元素는 “太陽頭痛, 巓頂痛을 치료하고 寒邪가 뇌로 들어가고 통증이 치아와 뺨 부위까지 연결된 경우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李杲는 “머리와 얼굴 및 전신의 피부가 가렵고 습한 것을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王好古는 “督脈이 병들어서 척추가 뻗뻗하고 시린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李時珍은 “癰疽를 치료하며 고름을 배출시키고 瘡口를 막는다.”라고 하였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藁茇<綱目>, 鬼卿<本經>, 地新<本經>, 微莖<別錄>이 있다. 蘇恭은 “약초의 밑동이 벼가 마른 것과 비슷하므로 藁本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本은 뿌리를 뜻한다.”라고 하였다.

 

李時珍은 “옛 사람들은 이것을 향료로 사용하였는데, 藁本香이라고 하였다. <山海經>에는 ‘藁茇’이라는 명칭이 있다.”고 했다.

 

'동물식물자료 >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로쇠나무 [Acer mono]  (0) 2010.10.07
고로쇠나무 [Acer mono]  (0) 2010.10.07
약용식물  (0) 2010.08.30
감초(甘草)의 효능  (0) 2010.08.27
감초(甘草)   (0) 2010.08.2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