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표에서 숫자는 수상 횟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한 사람이 2회 이상 수상한 경우 그대로 반영했다.
국적은 수상 당시 수상자의 국적이며, 이중 국적은 인정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984년 노벨 생리학ㆍ의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면역학자 넬스 K.
예르네는 수상 당시 영국 국적 외에도 덴마크, 스위스 국적을 갖고 있었으나,
영국 국적으로 처리했다. '러시아/소련'은 소련 및 그에 속했던 옛 공화국들을 나타낸다.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독일 |
혈청 치료요법 연구 | |
1902 |
영국 |
말라리아의 생체침투법 발견 | |
1903 |
덴마크 |
광선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법 | |
1904 |
러시아 |
소화생리학 연구 | |
1905 |
독일 |
결핵 연구 | |
1906 |
이탈리아 |
신경계 구조 연구 | |
1907 |
프랑스 |
질병유발 원생동물의 습성 발견 | |
1908 |
독일 |
면역 연구 | |
1909 |
스위스 |
생리학, 병리학, 갑상선 외과 수술 | |
1910 |
독일 |
세포 화학 연구 | |
1911 |
스웨덴 |
혈관 봉합, 기관 이식 연구 | |
1912 |
프랑스 |
눈의 굴절광학 연구 | |
1913 |
프랑스 |
과민증 연구 | |
1914 |
오스트리아 |
내이(內耳)의 전정기관 연구 | |
1915 |
수상자 없음 |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수상자 없음 |
|
|
1918 |
수상자 없음 |
|
|
1919 |
벨기에 |
면역에 대한 여러 가지 발견 | |
1920 |
덴마크 |
모세관운동 조절 메커니즘 연구 | |
1921 |
수상자 없음 |
|
|
1922 |
영국 |
근육내 열생산에 관한 발견 | |
1923 |
F. G. 밴팅 |
캐나다 |
인슐린 발견 |
1924 |
네덜란드 |
심전도 메커니즘 발견 | |
1925 |
수상자 없음 |
|
|
1926 |
덴마크 |
암 연구에 공헌 | |
1927 |
오스트리아 |
마비성 치매에 대한 말라리아 접종 연구 | |
1928 |
프랑스 |
티푸스 연구 | |
1929 |
네덜란드 |
신경치료 비타민 연구 | |
1930 |
미국 |
인체 혈액 분류 | |
1931 |
독일 |
호흡효소의 성질과 작용 발견 | |
1932 |
영국 |
뉴런의 기능에 관한 여러 가지 발견 | |
1933 |
미국 |
염색체 유전기능 | |
1934 |
미국 |
빈혈에 관한 간장 치료법 재발견 | |
1935 |
독일 |
배(胚)에서의 형성체의 역할 | |
1936 |
영국 |
신경충격의 화학적 전달 연구 | |
1937 |
헝가리 |
생물학적 연소 연구 | |
1938 |
벨기에 |
호흡조절에서 정맥동(靜脈洞)과 대동맥 작용 메커니즘의 역할 | |
1939 |
게르하르트 도마크 |
독일 |
프론토질의 항균 효과 |
1943 |
덴마크 |
비타민 K 발견 | |
1944 |
미국 |
신경섬유의 분화된 기능 연구 | |
1945 |
영국 |
페니실린과 그 치료 가치의 발견 | |
1946 |
미국 |
X선 조사에 의한 돌연 변이 유발 | |
1947 |
미국 |
글리코겐의 촉매작용에 의한 전환방법 발견 | |
1948 |
스위스 |
DDT 특성 | |
1949 |
스위스 |
중뇌의 기능 발견 | |
1950 |
미국 |
부신피질 호르몬과 그 구조, 생물학적 효과 연구 | |
1951 |
남아프리카공화국 |
황열병 발견 | |
1952 |
미국 |
스트렙토마이신 연구 | |
1953 |
미국 |
탄수화물 대사작용에서 조효소 A 시트르산 회로(사이클) 발견 | |
1954 |
미국 |
조직배양에서 척추성 소아마비 바이러스 배양 | |
1955 |
스웨덴 |
산화효소의 작용 성질과 형태 | |
1956 |
독일 |
심장 카테터법과 순환계 변화에 관한 발견 | |
1957 |
이탈리아 |
합성 큐라레 생산 | |
1958 |
미국 |
화학적 과정의 유전적 조절, 유전적 재결합 | |
1959 |
미국 |
인공 핵산 생산 연구 | |
1960 |
오스트레일리아 |
조직이식에서 발생 하는 후천적 면역성 연구 | |
1961 |
미국 |
내이(內耳)의 기능 | |
1962 |
영국 |
디옥시리보핵산의 분자구조에 관한 발견 | |
1963 |
오스트레일리아 |
신경섬유를 통한 신경충격의 전달 연구 | |
1964 |
미국 |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대사작용에 관한 발견 | |
1965 |
프랑스 |
세균의 조절작용 발견 | |
1966 |
미국 |
암의 원인과 치료에 관한 연구 | |
1967 |
미국 |
눈의 화학적, 물리학적 시각과정에 관한 발견 | |
1968 |
미국 |
유전 암호 해독 | |
1969 |
미국 |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질병에 관한 연구와 발견 | |
1970 |
미국 |
신경전달의 화학에 관한 발견 | |
1971 |
미국 |
호르몬 작용 | |
1972 |
미국 |
항체의 화학적 구조 연구 | |
1973 |
오스트리아 |
동물의 행동 유형 연구 | |
1974 |
미국 |
세포의 구조적, 기능적 체제 연구 | |
1975 |
미국 |
종양 바이러스와 세포의 유전 물질 사이의 관계 | |
1976 |
미국 |
전염병의 기원과 확대 연구 | |
1977 |
미국 |
방사성면역측정법의 개발 : 뇌하수체 호르몬 연구 | |
1978 |
스위스 |
디옥시리보핵산 분해효소의 발견과 응용 | |
1979 |
미국 |
CAT의 개발(컴퓨터에 의한 단층 촬영) : 주사(走査), 방사선 진단술 | |
1980 |
미국 |
이물질에 대한 면역계 반응의 유전적 조절 연구 | |
1981 |
로저 W. 스페리 |
미국 |
대뇌 반구(半球)의 기능 |
1982 |
스웨덴 |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화학 및 생리학 | |
1983 |
미국 |
유전 영향을 미치는 전이성 식물유전자 발견 | |
1984 |
영국-덴마크 |
단일클론 항체 생산기술에 관한 이론 및 개발 | |
1985 |
미국 |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련된 세포 수용체의 발견 | |
1986 |
미국 |
세포성장의 조절을 돕는 화학적 인자 발견 | |
1987 |
일본 |
항체의 유전적 측면 연구 | |
1988 |
영국 |
질병퇴치를 위한 새로운 종류의 약제 개발 | |
1989 |
J. 마이클 비숍 |
미국 |
암유발 유전자 연구 |
1990 |
미국 |
신장과 골수 이식 개발 | |
1991 |
에르빈 네어 |
독일 |
세포의 정보교환 발견 |
1992 |
에드먼드 H. 피셔 |
미국 |
가역단백질의 인산화 발견 |
1993 |
리처드 J. 로버츠 |
영국 |
절단유전자 발견 |
1994 |
앨프레드 G. 길먼 |
미국 |
G-단백질이라는 신호 세포 발견 |
1995 |
미국 |
몸 구조를 결정하는 배(胚)의 마스터 유전자 무리 발견 | |
1996 |
오스트레일리아 |
면역체계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는 방법의 발견 | |
1997 |
미국 |
질병을 유발하는 새로운 매개물질인 프리온 발견 | |
1998 |
미국 |
신경전달물질로서 일산화질소의 역할에 대한 연구 | |
1999 |
미국 |
세포 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특정 신호체계 발견 | |
2000 |
스웨덴 |
신경전달물질과 그 작용 원리 발견 | |
2001 |
미국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분자 구조 발견 | |
2002 |
영국 |
세포의 자살 메커니즘 규명 | |
2003 |
폴 C. 로터버 |
미국 |
세포의 자살 메커니즘 규명 |
2004 |
리처드 액설 |
미국 |
후각수용체와 후각 메커니즘 발견 |
2005 |
배리 J. 마셜 |
오스트레일리아 |
위염.위궤양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발견 및 발병 메커니즘 규명 |
연도 |
수상자 |
국적 |
문학 분야 |
1901 |
프랑스 |
시인 | |
1902 |
독일 |
역사가 | |
1903 |
노르웨이 |
소설가, 시인, 극작가 | |
1904 |
프랑스 |
시인 | |
1905 |
폴란드 |
소설가 | |
1906 |
이탈리아 |
시인 | |
1907 |
영국 |
시인, 소설가 | |
1908 |
독일 |
철학자 | |
1909 |
스웨덴 |
소설가 | |
1910 |
독일 |
시인, 소설가, 극작가 | |
1911 |
벨기에 |
극작가 | |
1912 |
독일 |
극작가 | |
1913 |
인도 |
시인 | |
1914 |
수상자 없음 |
|
|
1915 |
프랑스 |
소설가 | |
1916 |
스웨덴 |
시인 | |
1917 |
덴마크 |
소설가 | |
1918 |
수상자 없음 |
|
|
1919 |
스위스 |
시인, 소설가 | |
1920 |
노르웨이 |
소설가 | |
1921 |
프랑스 |
소설가 | |
1922 |
스페인 |
극작가 | |
1923 |
아일랜드 |
시인 | |
1924 |
폴란드 |
소설가 | |
1925 |
아일랜드 |
극작가 | |
1926 |
이탈리아 |
소설가 | |
1927 |
프랑스 |
철학자 | |
1928 |
노르웨이 |
소설가 | |
1929 |
독일 |
소설가 | |
1930 |
미국 |
소설가 | |
1931 |
스웨덴 |
시인 | |
1932 |
영국 |
소설가 | |
1933 |
소련 |
소설가 | |
1934 |
이탈리아 |
극작가 | |
1935 |
수상자 없음 |
|
|
1936 |
미국 |
극작가 | |
1937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프랑스 |
소설가 |
1938 |
미국 |
소설가 | |
1939 |
핀란드 |
소설가 | |
1943 |
수상자 없음 |
|
|
1944 |
덴마크 |
소설가 | |
1945 |
칠레 |
시인 | |
1946 |
스위스 |
소설가 | |
1947 |
프랑스 |
소설가, 수필가 | |
1948 |
영국 |
시인, 비평가 | |
1949 |
미국 |
소설가 | |
1950 |
영국 |
철학자 | |
1951 |
스웨덴 |
소설가 | |
1952 |
프랑스 |
시인, 소설가, 극작가 | |
1953 |
영국 |
역사가,웅변가 | |
1954 |
미국 |
소설가 | |
1955 |
아이슬란드 |
소설가 | |
1956 |
스페인 |
시인 | |
1957 |
프랑스 |
소설가, 극작가 | |
1958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수상거부) |
소련 |
소설가, 시인 |
1959 |
이탈리아 |
시인 | |
1960 |
프랑스 |
시인 | |
1961 |
구 유고슬라비아 |
소설가 | |
1962 |
미국 |
소설가 | |
1963 |
그리스 |
시인 | |
1964 |
장 폴 사르트르 (수상 거부) |
프랑스 |
철학자, 극작가 |
1965 |
소련 |
소설가 | |
1966 |
이스라엘 |
소설가 | |
1967 |
과테말라 |
소설가 | |
1968 |
일본 |
소설가 | |
1969 |
아일랜드 |
소설가, 극작가 | |
1970 |
소련 |
소설가 | |
1971 |
칠레 |
시인 | |
1972 |
독일 |
소설가 | |
1973 |
오스트레일리아 |
소설가 | |
1974 |
스웨덴 |
소설가 | |
1975 |
이탈리아 |
시인 | |
1976 |
미국 |
소설가 | |
1977 |
스페인 |
소설가 | |
1978 |
미국 |
소설가 | |
1979 |
그리스 |
시인 | |
1980 |
미국 |
시인 | |
1981 |
불가리아 |
소설가, 수필가 | |
1982 |
콜롬비아 |
소설가, 언론인, 사회비평가 | |
1983 |
영국 |
소설가 | |
1984 |
구 체코슬로바키아 |
시인 | |
1985 |
프랑스 |
소설가 | |
1986 |
나이지리아 |
각색가, 시인 | |
1987 |
미국 |
시인, 수필가 | |
1988 |
이집트 |
소설가 | |
1989 |
스페인 |
소설가 | |
1990 |
멕시코 |
시인, 수필가 | |
1991 |
남아프리카공화국 |
소설가 | |
1992 |
세인트루시아 |
시인 | |
1993 |
미국 |
소설가 | |
1994 |
일본 |
소설가 | |
1995 |
아일랜드 |
시인 | |
1996 |
폴란드 |
시인 | |
1997 |
이탈리아 |
극작가 | |
1998 |
포르투갈 |
소설가 | |
1999 |
독일 |
시인,소설가 | |
2000 |
프랑스* |
소설가·극작가 | |
2001 |
영국 |
소설가 | |
2002 |
헝가리 |
소설가 | |
2003 |
존 맥스웰 쿠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소설가, 비평가, 번역가 |
2004 |
엘프리데 옐리네크 |
오스트리아 |
시인, 소설가 |
2005 |
해럴드 핀터 |
영국 |
극작가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스위스 |
적십자사 및 기독교 청년회 창립 | |
1902 |
스위스 |
국제평화국 명예총재 | |
1903 |
영국 |
국제중재 주창 | |
1904 |
국제법학회 |
1873년 |
|
1905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평화주의협회 창설 | |
1906 |
미국 |
러일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 | |
1907 |
이탈리아 |
밀라노에서 열린 국제평화회의에서 의장직을 수행 | |
1908 |
스웨덴 |
노르웨이-스웨덴 연합의 제문제들을 해결 | |
1909 |
프랑스 |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데 기여 | |
1910 |
국제평화국 |
1891년 |
|
1911 |
네덜란드 |
헤이그 평화회의에서 상설중재재판소 결성에 기여 | |
1912 |
미국 |
국제평화와 화합에 기여 | |
1913 |
벨기에 |
국제평화국 국장, 만국평화회의 개최에 기여 | |
1914 |
수상자 없음 |
|
|
1915 |
수상자 없음 |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적십자국제위원회 |
1863년 |
|
1918 |
수상자 없음 |
|
|
1919 |
미국 |
파리 평화회의에서 국제연맹의 설립을 주창 | |
1920 |
프랑스 |
국제연맹 결성에 기여 | |
1921 |
스웨덴 |
사회민주주의 성립에 기여 | |
1922 |
노르웨이 |
러시아에 대한 구제사업, 난민을 위한 활동 | |
1923 |
수상자 없음 |
|
|
1924 |
수상자 없음 |
|
|
1925 |
영국 |
로카르노 조약 성립에 기여 | |
1926 |
프랑스 |
국제협력과 세계평화에 기여 | |
1927 |
프랑스 |
전후 프랑스와 독일의 친선에 기여 | |
1928 |
수상자 없음 |
|
|
1929 |
미국 |
켈로그-브리앙 협정 체결에 기여 | |
1930 |
스웨덴 |
교회연합으로 평화를 이루고자 노력 | |
1931 |
미국 |
사회복지기관 헐하우스 창시 | |
1932 |
수상자 없음 |
|
|
1933 |
영국 |
| |
1934 |
영국 |
군비축소에 기여 | |
1935 |
독일 |
독일 군부 지도자들의 재무장을 위한 준비를 폭로 | |
1936 |
아르헨티나 |
남아메리카의 차코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 | |
1937 |
영국 |
국제연맹규약을 기초 | |
1938 |
난센국제난민 사무국 |
1931년 |
|
1939 |
수상자 없음 |
|
|
1943 |
수상자 없음 |
|
|
1944 |
적십자국제위원회 |
1863년 |
|
1945 |
미국 |
국제연합의 조직에 기여 | |
1946 |
미국 |
여성평화운동 전개 | |
1947 |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
|
사회사업과 공공정보 프로그램을 통한 평화와 화해 증진을 목적으로 창설 |
1948 |
수상자 없음 |
|
|
1949 |
미국 |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총재 | |
1950 |
미국 |
아랍-이스라엘 휴전협상 성립에 기여 | |
1951 |
프랑스 |
국제노동기구 창설에 기여 | |
1952 |
독일 |
'인류의 형제애'를 위한 노력 | |
1953 |
미국 |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 경제재건 및 세계평화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노력 | |
1954 |
1951년 |
난민들에 대한 정치적·법적 보호 | |
1955 |
수상자 없음 |
|
|
1956 |
수상자 없음 |
|
|
1957 |
캐나다 |
1956년 수에즈 위기를 해결하는 데 기여 | |
1958 |
벨기에 |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 피난민들의 구호사업을 전개 | |
1959 |
영국 |
다자간 군비축소를 위해 활동 | |
196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인종차별정책에 대한 비폭력 저항 | |
1961 |
스웨덴 |
국제연합 사무총장 재임 중 각종 국제분쟁 해결 | |
1962 |
미국 |
핵무기의 국제적 통제를 위한 노력, 핵실험 반대운동 전개 | |
1963 |
적십자국제위원회 |
|
전쟁 및 재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구제하기 위한 활동 전개 |
1964 |
미국 |
미국 민권운동의 전개에 기여 | |
1965 |
1946년 |
아동들의 생활개선에 기여 | |
1966 |
수상자 없음 |
|
|
1967 |
수상자 없음 |
|
|
1968 |
프랑스 |
국제연합 인권선언을 기초 | |
1969 |
1919년 |
노동조건과 생활수준 개선을 위해 노력 | |
1970 |
미국 |
녹색혁명의 기초를 마련 | |
1971 |
독일 |
동서의 화해를 위한 노력 | |
1972 |
수상자 없음 |
|
|
1973 |
헨리 키신저 |
미국 |
베트남 분쟁 해결 |
1974 |
일본 |
핵무기확산금지조약 체결 등 핵무기 정책에 공헌 | |
1975 |
소련 |
인권, 시민 자유, 개혁, 비공산국가와의 화해 등을 주창 | |
1976 |
북아일랜드 |
가톨릭·프로테스탄트의 평화운동단체인 피스 피플 공동체를 창설 | |
1977 |
1961년 |
인권침해 고발, 반체제 인사들의 구제를 위한 노력 | |
1978 |
이스라엘 |
중동평화에 이바지한 공로 | |
1979 |
인도 |
가난하고 불우한 처지에 놓여있는 사람들을 위해 헌신한 공로 | |
1980 |
아르헨티나 |
라틴아메리카의 인권 개선에 이바지한 공로 | |
1981 |
1951년 |
난민들의 이주와 정착 및 처우개선에 이바지한 공로 | |
1982 |
알바 뮈르달 |
스웨덴 |
군축에 이바지한 공로 |
1983 |
폴란드 |
연대자유노조를 이끌고 폴란드의 민주화에 기여한 공로 | |
198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 반대운동에 이바지한 공로 | |
1985 |
핵전방지국제의학자기구(IPPNW) |
1980년 |
반핵 운동에 기여한 공로 |
1986 |
미국 |
문학을 통해 폭행·증오·억압에 반대한 공로 | |
1987 |
오스카르 아리아스산체스 |
코스타리카 |
니카라과와 엘살바도르 사이의 내전을 중재한 공로 |
1988 |
국제연합평화유지군 |
|
분쟁지역 평화정착에 기여한 공로 |
1989 |
달라이 라마 |
티베트 |
티베트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 |
1990 |
소련 |
냉전체제 종식 및 세계평화에 기여한 공로 | |
1991 |
아웅산 수지 |
미얀마 |
미얀마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로 |
1992 |
과테말라 |
과테말라 인디오들의 인권개선과 인종간 화합에 기여한 공로 | |
1993 |
F. W. 데 클레르크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공의 인종분쟁 종식과 민주화에 기여한 공로 |
1994 |
팔레스타인 |
중동평화협정 타결에 기여한 공로 | |
1995 |
폴란드 |
반핵 운동에 기여한 공로 | |
1996 |
동티모르 |
동티모르 독립 운동에 기여한 공로 | |
1997 |
미국 |
대인지뢰 사용 금지를 위해 노력한 공로 | |
1998 |
아일랜드 |
아일랜드 평화협상에 기여한 공로 | |
1999 |
1971년 |
인도주의 활동으로 세계 평화에 기여한 공로 | |
2000 |
한국 |
한반도 민주화와 인권, 남북화해, 동아시아 민주화에 기여 | |
2001 |
1945년 |
세계 평화의 정착 및 국제적 난제들의 해결을 위해 노력한 공로 | |
2002 |
미국 |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 지구촌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해 기여한 공로 | |
2003 |
시린 에바디 |
이란 |
이슬람 세계의 엄격한 율법 아래에서 여성과 어린이, 반체제 인사 등을 위한 인권 운동에 헌신한 공로 |
2004 |
왕가리 마타이 |
케냐 |
친환경적인 발전, 민주주의와 평화에 기여 |
2005 |
국제원자력기구(IAEA) |
|
핵무기 확산 방지 및 핵 에너지의 평화적 사용에 공헌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독일 |
X선 발견 | |
1902 |
네덜란드 |
복사현상의 자기적 영향에 대한 연구 | |
1903 |
프랑스 |
자연방사현상 연구 | |
1904 |
영국 |
아르곤 발견 | |
1905 |
독일 |
음극선 연구 | |
1906 |
영국 |
기체의 전기전도율 연구 | |
1907 |
미국 |
분광(分光)과 측정에 관한 연구 | |
1908 |
프랑스 |
천연색사진 연구 | |
1909 |
이탈리아 |
무선전신 개발 | |
1910 |
네덜란드 |
기체와 액체의 상태방정식에 대한 연구 | |
1911 |
독일 |
열복사 법칙 발견 | |
1912 |
스웨덴 |
등대용 가스 어큐뮬레이터에 쓰이는 자동조절기발명 | |
1913 |
네덜란드 |
저온에서의 물질의 속성에 대한 연구 : 액체 헬륨의 생성 | |
1914 |
독일 |
결정에 의한 X선 회절(回折)의 연구 | |
1915 |
영국 |
X선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영국 |
원소의 특성 X선 발견 | |
1918 |
독일 |
기본 양자 발견 | |
1919 |
독일 |
양 이온 광선에서 도플러 효과 발견 및 전기장에서의 스펙트럼선 분석 | |
1920 |
스위스 |
합금의 아노말 발견(니켈강의 연구) | |
1921 |
스위스 |
이론물리학에 공헌 | |
1922 |
덴마크 |
원자구조와 복사에 대한 연구 | |
1923 |
미국 |
기본전하와 광전효과에 대한 작업 | |
1924 |
스웨덴 |
X선 분광학에 대한 연구 | |
1925 |
독일 |
원자에 대한 전자 충돌에 관한 법칙 발견 | |
1926 |
프랑스 |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에 대한 연구 | |
1927 |
미국 |
산란된 X선에서 파장의 변화 발견 | |
1928 |
영국 |
리처드슨 법칙 발견 | |
1929 |
프랑스 |
전자의 파동성 발견 | |
1930 |
인도 |
빛 산란에 대한 연구, 라만 효과 발견 | |
1931 |
수상자 없음 |
|
|
1932 |
독일 |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원리 발견 | |
1933 |
영국 |
양자역학에 파동 방정식 도입 | |
1934 |
수상자 없음 |
|
|
1935 |
영국 |
중성자 발견 | |
1936 |
오스트리아 |
우주선 발견 | |
1937 |
미국 |
전자에 의해 굴절된 결정내에서의 상호간섭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 | |
1938 |
이탈리아 |
중성자에 의한 인공방사성 원소의 연구 | |
1939 |
미국 |
사이클로트론의 발명 | |
1943 |
미국 |
양성자의 자기 모멘트 발견 | |
1944 |
미국 |
원자핵의 자기 속성의 표시를 위한 공명 방법 | |
1945 |
오스트리아 |
배타원리 발견 | |
1946 |
미국 |
고압물리학의 재발견 | |
1947 |
영국 |
전리층에서의 애플턴층 발견 | |
1948 |
영국 |
핵 물리학 및 우주선의 재발견 | |
1949 |
일본 |
중간자의 존재 예견 | |
1950 |
미국 |
핵과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 사진적 방 법 : 중간자 발견 | |
1951 |
영국 |
가속 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 |
1952 |
미국 |
고체에서 핵자기 공명에 대해 연구 | |
1953 |
네덜란드 |
위상차 현미경의 완성 | |
1954 |
영국 |
파동 함수에 대한 통계적 연구 동시 계수법 발명 | |
1955 |
미국 |
수소 스펙트럼의 구조에 관한 여러 발견 | |
1956 |
미국 |
반도체 연구 및 트랜지스터 효과의 발견 | |
1957 |
중국 |
패리티의 보전법칙에 위배되는 현상 발견 | |
1958 |
소련 |
체렌코프 효과의 발견과 해석 | |
1959 |
미국 |
반양성자의 존재 확인 | |
1960 |
도널드 글레이저 |
미국 |
거품 상자의 개발 |
1961 |
미국 |
원자핵의 형태와 크기를 규정 | |
1962 |
소련 |
물질의 응축상태에 대한 이해에 공헌 | |
1963 |
독일 |
원자핵 내에서 양성자와 중성자의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원자핵 원리의 구조에 대한 핵껍질 모델 이론을 개발 | |
1964 |
미국 |
메이저 레이저 원리에 기초를 둔 실험 장치 구성을 가능하게 한 양자 전자공 학 분야의 업적 | |
1965 |
미국 |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원리 연구 | |
1966 |
프랑스 |
원자에서 헤르츠파 공명연구의 광학적 방법 발견 | |
1967 |
미국 |
별의 에너지 발생에 대한 연구 | |
1968 |
미국 |
소립자에 대한 업적, 공명상태의 발견 | |
1969 |
미국 |
소립자의 분류와 상호작용에 관한 발견 | |
1970 |
스웨덴 |
자기유체역학 및 반강자성과 강자성 분야의 업적 | |
1971 |
영국 |
홀로그래피 발명 | |
1972 |
미국 |
초전도 이론의 개발 | |
1973 |
일본 |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 효과 | |
1974 |
영국 |
전파 천문학 분야의 연구 | |
1975 |
덴마크 |
핵융합의 길을 열어놓은 원자핵 이해에 대한 업적 | |
1976 |
버튼 리히터 |
미국 |
새로운 소립자 발견(제이, 프사이 입자 발견) |
1977 |
미국 |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자기에 따른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 |
1978 |
소련 |
헬륨 액화장치의 발명과 응용 | |
1979 |
미국 |
전자기력과 원자구성 입자의 약한 상호작용간에 추론 확립 | |
1980 |
미국 |
하전공핵변환과 패리티 역전의 대칭성에 위반되는 현상 입증 | |
1981 |
스웨덴 |
화학적 분석에 전자분광학 적용 | |
1982 |
미국 |
상 전이 분석 | |
1983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미국 |
별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이해에 공헌 |
1984 |
카를로 루비아 |
이탈리아 |
원자구성입자인 W와 Z 발견, 이는 전기 약력이론을 뒷받침 |
1985 |
서독 |
양자화된 홀(Hall) 효과 발견, 이는 전기 저항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함 | |
1986 |
서독 |
특수 전자현미경 개발 | |
1987 |
서독 |
새로운 초전도물질 발견 | |
1988 |
미국 |
원자구성입자의 연구 | |
1989 |
노만 F. 램지 |
미국 |
원자시계 개발 고립원자와 원자 구성입자 들의 연구 방법 개발(패닝 트랩 의 개발) |
1990 |
제롬 I. 프리드먼 |
미국 |
쿼크의 발견 |
1991 |
피에르 질 드 젠 |
프랑스 |
분자의 형태를 규정하는 일반 법칙 발견 |
1992 |
프랑스 |
아원자 입자 추적 검출기 고안 | |
1993 |
러셀 A. 헐스 |
미국 |
이중 맥동성(脈動星) 확인 |
1994 |
버트럼 N. 브록하우스 |
캐나다 |
중성자 산란 기술 개발 |
1995 |
미국 |
원자구성입자인 중성미자와 타우 경입자 발견 | |
1996 |
미국 |
초유동체 헬륨-3의 발견 | |
1997 |
미국 |
레이저광으로 원자를 냉각해 포획 | |
1998 |
미국 |
극저온의 자기장하에서의 반도체 내 전자에 대한 연구 | |
1999 |
네덜란드 |
전자기 및 약력의 양자역학적 구조 규명 | |
2000 |
러시아 |
복합반도체 개발 | |
2001 |
미국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 이론 실증 | |
2002 |
미국 |
중성미자의 존재 입증, 우주의 X선원 발견 | |
2003 |
알렉세이 A. 아브리코소프 |
미국·러시아 |
현대 초전도체와 초유체 현상에 대한 이론적 토대 확립 |
2004 |
데이비드 J. 그로스 |
미국 |
양성자·중성자를 구성하는 소립자 쿼크를 묶는 '강력'의 새로운 속성을 밝혀낸 공로 |
2005 |
로이 J. 글라우버 |
미국 |
양자광학적 결맞음 이론으로 현대 양자광학의 토대 마련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네덜란드 |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 발견 | |
1902 |
독일 |
당과 푸린 합성에 관한 연구 | |
1903 |
스웨덴 |
전기해리 이론 | |
1904 |
영국 |
비활성 기체 원소 및 주기율표에서의 위치 발견 | |
1905 |
독일 |
유기염료,히드로방향족화합물에 관한 연구 | |
1906 |
프랑스 |
플루오르 화합물 : 무아상로(爐) 도입 | |
1907 |
독일 |
비세포적 발효 발견 | |
1908 |
영국 |
원소 붕괴 및 방사성 물질의 화학에 관한 연구 | |
1909 |
독일 |
촉매, 화학평형과 반응속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
1910 |
독일 |
지방족 화합물의 결합에 관한 선구적 연구 | |
1911 |
프랑스 |
라듐 및 폴로늄 발견 : 라듐 분리 | |
1912 |
프랑스 |
그리냐르 시약(試藥) 발견 | |
1913 |
스위스 |
분자 내에서의 원자의 결합 연구 | |
1914 |
미국 |
많은 원소의 원자량의 정밀 측정 | |
1915 |
독일 |
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수상자 없음 |
|
|
1918 |
독일 |
암모니아 합성 | |
1919 |
수상자 없음 |
|
|
1920 |
독일 |
열화학 분야에 관한 연구 | |
1921 |
영국 |
방사성 물질의 화학:동위원소의 산출과 성질 | |
1922 |
영국 |
질량분석사진기를 이용한 연구:원자량 정수의 법칙 | |
1923 |
오스트리아 |
유기물질의 미량분석법 | |
1924 |
수상자 없음 |
|
|
1925 |
오스트리아 |
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 | |
1926 |
스웨덴 |
분산계 연구 | |
1927 |
독일 |
담즙산의 조성에 관한 연구 | |
1928 |
독일 |
스테롤의 구조 및 비타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스테롤에 관한 연구 | |
1929 |
영국 |
당의 발효와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에 대한 연구 | |
1930 |
독일 |
헤민, 클로르필 연구 : 헤민 합성 | |
1931 |
독일 |
화학적 고압방법의 발명과 개발 | |
1932 |
미국 |
표면 화학에서의 발견과 연구 | |
1933 |
수상자 없음 |
|
|
1934 |
미국 |
중수소 발견 | |
1935 |
프랑스 |
새로운 방사성 원소 합성 | |
1936 |
네덜란드 |
기체속의 X선과 전자의 쌍극자 모멘트 및 회절에 관한 연구 | |
1937 |
영국 |
탄수화물 및 비타민 C 연구 카로티노이드, 플라빈, 비타민 연구 | |
1938 |
리하르트 쿤(수상 거부) |
독일 |
카로티노이드 및 비타민 연구 |
1939 |
독일 |
성 호르몬 연구 | |
1943 |
헝가리 |
화학 연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 | |
1944 |
독일 |
중핵분열 발견 | |
1945 |
핀란드 |
사료보존법 개발 | |
1946 |
미국 |
효소의 결정화 발견 | |
1947 |
영국 |
알칼로이드 및 기타 식물 생성물 연구 | |
1948 |
스웨덴 |
전기이동 및 흡착 분석법 연구 : 혈청 단백질 | |
1949 |
미국 |
극저온에서의 물질의 운동 | |
1950 |
독일 |
디엔 합성 발견 및 개발 | |
1951 |
미국 |
초우라늄 요소의 발견과 연구 | |
1952 |
영국 |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개발 | |
1953 |
독일 |
거대분자 연구 | |
1954 |
미국 |
화학적 결합의 특성 연구 | |
1955 |
미국 |
폴리펩티드 호르몬 합성 | |
1956 |
시릴 힌셜우드 |
영국 |
화학반응의 동역학 연구 |
1957 |
영국 |
뉴클레오티드류와 뉴클레오티드 조효소에 관한 연구 | |
1958 |
영국 |
인슐린 분자의 구조 결정 | |
1959 |
구 체코슬로바키아 |
폴라로그래피의 발견과 개발 | |
1960 |
미국 |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 개발 | |
1961 |
미국 |
광합성 중에 발생하는 화학적 단계 연구 | |
1962 |
영국 |
헴단백질(hemoprotein)의 구조 결정 | |
1963 |
이탈리아 |
플라스틱 분야에서 중합체의 구조와 그 합성 | |
1964 |
영국 |
악성빈혈 퇴치에 꼭 필요한 생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결정 | |
1965 |
미국 |
과거 생물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여겼던 스테롤, 클로로필의 합성 | |
1966 |
미국 |
분자의 화학결합 및 전기적 구조에 관한 연구 | |
1967 |
독일 |
초고속 화학반응에 관한 연구 | |
1968 |
미국 |
비가역과정의 열역학 이론 연구 | |
1969 |
영국 |
특정 유기화합물의 3차원적 형태결정에 대한 연구 | |
1970 |
아르헨티나 |
탄수화물의 생합성(生合成)에서 당(糖) 뉴클레오티드와 그 역할 발견 | |
1971 |
캐나다 |
분자 구조에 대한 연구 | |
1972 |
미국 |
효소 화학에 기초 공헌 | |
1973 |
독일 |
유기금속 화학 | |
1974 |
미국 |
긴 사슬을 가진 분자에 관한 연구 | |
1975 |
영국 |
입체화학 연구 | |
1976 |
미국 |
보란의 구조 | |
1977 |
벨기에 |
열역학의 영역 확대 | |
1978 |
영국 |
생물계에서 에너지 이동과정 이론을 공식화 | |
1979 |
미국 |
유기물질의 합성에서 붕소(硼素)와 인(燐) 화합물 도입 | |
1980 |
미국 |
최초로 혼성 DNA 제조 | |
1981 |
후쿠이 겐이치 |
일본 |
화학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
1982 |
영국 |
생물학적 물질의 구조 결정 | |
1983 |
캐나다 |
전자이동 연구 | |
1984 |
미국 |
폴리펩티드 합성방법 개발 | |
1985 |
미국 |
작은 분자의 화학구조를 추론하는 수학적 방법 개발 | |
1986 |
미국 |
기초 화학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개발 | |
1987 |
영국 |
다른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분자 개발 | |
1988 |
서독 |
광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구조 발견 | |
1989 |
미국 |
RNA의 기본적 성질 발견 | |
1990 |
미국 |
복잡한 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역합성 분석법 | |
1991 |
리하르트 R. 에른스트 |
스위스 |
핵자기 공명 분광학 개발 |
1992 |
루돌프 A. 마커스 |
미국 |
분자간 전자이동에 대한 설명 |
1993 |
캐리 B. 멀리스 |
미국 |
유전자 연구와 조작기술 고안 |
1994 |
조지 A. 올라 |
미국 |
탄화수소 분자의 연구기술 개발 |
1995 |
네덜란드 |
오존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메커니즘을 설명 | |
1996 |
미국 |
새로운 탄소화합물인 풀러렌의 발견 | |
1997 |
영국 |
ATP 합성효소 발견 | |
1998 |
영국 |
컴퓨터를 사용한 분자반응 연구방법 고안 | |
1999 |
미국 |
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반응 연구 | |
2000 |
미국 |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 | |
2001 |
일본 |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기법 개발 | |
2002 |
미국 |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질량 측정, 3차원 구조 규명 | |
2003 |
피터 에이그리 |
미국 |
세포막에서 단백질 분리 성공 |
2004 |
어윈 로즈 |
미국 |
단백질 분해를 조절하는 세포 내 메커니즘 발견 |
2005 |
이브 쇼뱅 |
프랑스 |
복분해 반응 및 복분해 반응을 유도하는 촉매물질 개발 |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69 |
노르웨이 |
계량경제학 연구 | |
1970 |
미국 |
경제이론의 과학적 분석 연구 | |
1971 |
미국 |
국가의 경제성장에 관한 경험적 연구 | |
1972 |
영국 |
경제의 일반균형이론과 후생이론에 공헌 | |
1973 |
미국 |
투입-산출 분석 | |
1974 |
스웨덴 |
경제적·사회적·제도적 현상의 상호의존에 대한 선구적 분석 | |
1975 |
소련 |
최저 자원 분배론에 공헌 | |
1976 |
미국 |
소비 분석, 화폐 이론, 경제 안정화에 대한 연구 | |
1977 |
스웨덴 |
국제무역이론에 공헌 | |
1978 |
미국 |
경제기구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연구 | |
1979 |
영국 |
개발도상국의 경제과정 분석 | |
1980 |
미국 |
경기변동에 대한 경험적 모형의 개발과 분석 | |
1981 |
미국 |
경험적 거시경제 이론 | |
1982 |
미국 |
정부통제의 경제적 효과 | |
1983 |
미국 |
수요·공급 이론의 수학적 증명 | |
1984 |
영국 |
국민소득 회계체계 개발 | |
1985 |
미국 |
가계저축과 금융시장 분석 | |
1986 |
미국 |
경제에서 정부 역할의 제한을 주장하는 정치이론 | |
1987 |
미국 |
경제성장론에 공헌 | |
1988 |
프랑스 |
시장이론과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공헌 | |
1989 |
노르웨이 |
경제예측을 위한 통계기법 개발 | |
1990 |
미국 |
금융시장과 투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
1991 |
로널드 H. 코스 |
미국 |
법률 연구에 경제원칙 적용 |
1992 |
게리 S. 베커 |
미국 |
사회학에 경제이론 적용 |
1993 |
로버트 W. 포겔 |
미국 |
경제사에 공헌 |
1994 |
존 C. 하사니 |
미국 |
게임 이론 개발 |
1995 |
미국 |
'합리적 기대 가설'을 발전·적용 | |
1996 |
영국 |
정보가 불균형한 상태에서의 경제적 인센티브에 대한 이론 | |
1997 |
캐나다 |
주식 옵션과 다른 파생물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안 제시 | |
1998 |
인도 |
복지경제학과 사회적 선택에 대한 연구 | |
1999 |
미국 |
서로 다른 환율체제하의 통화ㆍ재정 정책과 최적통화지역 분석 | |
2000 |
미국 |
개인 및 가계의 행위선택에 관한 통계분석기법 개발 | |
2001 |
미국 |
시장 참여자들의 불균등한 정보 소유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 분석 | |
2002 |
미국 |
실험경제학 분야 개척 | |
2003 |
로버트 F. 엥글 |
미국 |
통계 분석 방법을 개선해 미래 예측의 정확성을 높인 공로 |
2004 |
핀 쉬들란 |
노르웨이 |
동태적 거시경제학에 기여 |
2005 |
로버트 J. 오먼 |
이스라엘·미국 |
게임이론 분석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 공로 |
역대 노벨물리학상 베스트3과 워스트3 (0) | 2013.01.11 |
---|---|
미국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 출신대학 (0) | 2013.01.11 |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0) | 2013.01.11 |
노벨상수상자 명단 (0) | 2013.01.11 |
역대 노벨상 수상자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