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9th Asian Winter Games Harbin 2025
The 9th Asian Winter Games Harbin 2025
www.harbin2025.com
====================================================================================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이 일주일간의 열전을 마무리했다.
한국 대표팀은 당초 금메달 10개 안팎을 획득할 것이라 전망됐으나 전통의 효자 종목 쇼트트랙에서 9개 중 6개를 쓸어 담은데 이어 피겨스케이팅 남녀 싱글에서 사상 첫 동반 우승 등 선전을 이어 나가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렸다.
대표팀은 이번 대회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 등 총 45개를 수집하며 개최국 중국에 이어 종합 2위를 확정했다.
중국 역시 안방의 이점을 최대한 살려 금32, 은27, 동26 등 전 종목에 걸쳐 초강세를 보이며 일찌감치 종합 우승 자리를 찜했다.
한국이 중국의 텃세에도 불구하고 쇼트트랙으로 기대 이상의 성과(금6)를 거둔 반면, 일본과 카자흐스탄은 이렇다 할 힘을 쓰지 못하며 각각 3위와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동계아시안게임은 한국과 중국, 일본, 그리고 카자흐스탄 등 4개국이 메달을 나눠 갖는 ‘그들만의 리그’로 진행되고 있다.
1986년 시작된 동계아시안게임은 출범 초기 일본이 초강세를 보였으나 이후 한국과 중국이 스포츠 부문에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고, 같은 시기 소련의 붕괴로 카자흐스탄이 독립하며 아시안게임에 참가, 이들 4개국이 순위 다툼을 벌이고 있다.
개최국이 초강세를 보이는 공식도 이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일본(4회)과 중국(3회)은 자국서 개최할 때마다 어김없이 종합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고, 2011년에는 카자흐스탄이 설상 종목을 대거 확대하며 역대 단일 대회 최다 금메달(32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한국은 1999년 강원 일대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동계아시안게임을 개최했으나 당시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하며 ‘개최국=1위’ 공식이 깨진 유일한 대회로 남았다.
‘빅4’ 국가들이 동계아시안게임서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동계아시안게임은 동계올림픽과 마찬가지로 설상과 빙상 종목 위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리적 요건을 갖춘 국가들이 두각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 여기에 경기장 등 인프라 확보와 장비 등 만만치 않은 돈이 들어 선진국들이 경쟁을 벌이는, 반쪽짜리 대회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번 대회도 마찬가지였다. 한중일카 등 ‘빅4’ 4개국은 총 185개의 금, 은, 동메달을 나눠가졌는데 이는 대회 총 메달의 97.4% 점유율에 달한다.
물론 희망을 본 국가들도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필리핀이다. 필리핀은 이번 대회 남자 컬링서 한국을 꺾고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기에 동메달을 목에 건 대만과 태국 역시 동계아시안게임 최초로 메달을 따냈다.
다음 아시안게임은 덥기로 유명한 사우디에서 펼쳐진다. 차기 개최국인 사우디는 이를 의식해 대대적인 규모로 선수단을 파견했고, 4년 뒤 시원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김윤일 2025. 2. 15.
출처 : 데일리안.
==========================================================================
차준환./대한체육회
2025 제9회 하얼빈동계아시아경기대회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로 총 메달 45개, 종합 2위 및 동계아시안게임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을 달성하며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바이애슬론, 빙상 쇼트트랙 단거리 등 그동안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던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무엇보다 신·구 선수들의 조화로운 합작으로 자연스러운 세대교체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압바꾸모바 예카테리나(35·전남체육회)는 한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동계아시안게임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쇼트트랙 최민정(27·성남시청)은 단거리(500m)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한 차준환(24·고려대)은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1위를, 스노보드 하프파이프의 김건희(17·시흥매화고) 선수 역시 금메달을 차지하며 한국 첫 메달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신설 종목에서도 대한민국 선수단의 활약을 엿볼 수 있었다. 프리스타일스키 하프파이프에서 이승훈(20·한국체대)은 금메달을, 문희성(19·설악고), 장유진(24·고려대)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프리스타일스키 빅에어에서는 윤종현(20·단국대)은메달을, 신영섭(20·강원대)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에서는 이채운(19·수리고)이 1위, 슬로프스타일과 빅에어에서 강동훈(19·고림고)이 3위에 오르며,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 2개를 목에 걸었다. 컬링 믹스더블의 김경애(31·강릉시청), 성지훈(28·강원도청)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종목 첫 메달 사냥에 성공했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이승훈(37·㈜알펜시아)은 남자 팀추월에서 은메달을 추가하며 역대 동계아시안게임 메달 합산 금7, 은2로 한국 동계아시안게임 최다 메달 기록(기존 : 김동성/쇼트트랙(금3, 은3, 동2))을 갱신했다. 쇼트트랙팀은 강원(1999년), 아오모리(2003년) 대회에 이어 역대 최다 메달 타이기록(6개)을 세웠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이나현(20·한국체대)은 시니어 첫 출전 시즌을 맞는 이번 대회의 출전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였고, 쇼트트랙의 최민정, 김태성(24·서울시청)은 아시안게임 신기록을 수립하는 등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빙상의 힘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2025 제9회 하얼빈동계아시아경기대회는 7일에 개막하여 34개국 1,200여 명의 아시아 선수들이 참가해 기량을 펼쳤으며,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 6개 종목 222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대한민국 선수단 본단은 현지시간으로 14일 오후 8시 하얼빈국제컨벤션·전시·체육센터에서 개최되는 폐회식에 참석한다. 다음 날인 15일 오후 2시 40분 아시아나항공 OZ340편으로 오후 6시 10분(한국시간)에 귀국하여 공항에서 대한민국 선수단 환영행사를 가진 후 대회 여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정원 기자 2025. 2. 14
출처 : 마이데일리
===================================================================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 메달리스트 - Google 검색
차준환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피겨스케이팅 남자... www.esquirekorea.co.kr
www.google.co.kr
제주 출신 축구스타 (0) | 2016.03.08 |
---|---|
최근 4경기 12골경기 평균이 해트트릭인 '미친 기세' 레반도프스키 (0) | 2015.10.06 |
제주축구 역대 전국대회 제패 史 (0) | 2013.11.29 |
U-17 女월드컵 우승 (0) | 2010.09.26 |
여민지 ‘트리플 크라운’…세계의 별이 되다 (0) | 201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