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일본 원폭 생존자들을 주축으로 한 반핵 운동단체 니혼 히단쿄(日本被團協·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가 선정됐다.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과 시상을 주관하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고 핵무기가 다시는 사용되어선 안 된다는 것을 증언을 통해 입증한 공로”로 이 단체를 올해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니혼 히단쿄는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 피해자들을 주축으로 한 생존자 단체로 1956년 결성됐으며, 이후 핵무기 반대 풀뿌리 운동에 매진해 왔다.
노벨위원회는 “니혼 히단쿄와 다른 히바쿠샤(원폭 피폭자를 뜻하는 표현) 대표자들의 엄청난 노력은 핵 금기를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했으며 지난 80년간 전쟁에서 핵무기가 사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역사적 증인들은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 캠페인을 만들고, 핵무기 확산과 사용에 긴급히 경고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에 대한 광범위한 반대 운동을 형성하고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다만 노벨위원회는 핵무기 사용에 대한 ‘금기’가 점차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점 역시 강조했다. 위원회는 “핵 강국들은 무기고를 현대화하고 있으며, 새로 핵무기를 준비하는 국가들도 있고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위협도 가해지고 있다”면서 “인류 역사의 이 시점에서 핵무기가 무엇인지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핵무기는 세계가 본 적 없는 가장 파괴적인 무기”라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내년은 미국의 원자폭탄 두 개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주민 약 12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 80주년이 되는 해”라면서 “고통스러운 기억에도 불구하고 값비싼 경험을 통해 희망을 키우기로 선택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생존자를 기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날의 핵무기는 훨씬 더 파괴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면서 “수백만명을 죽일 수 있고 기후에 재앙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핵 전쟁은 우리 문명을 파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니혼 히단쿄의 미마키 도시유키 대표는 평화상 수상이 “전 세계에 핵무기 폐기를 호소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인류 평화에 이바지한 인물이나 단체에 주는 노벨평화상은 1901년 시작돼 올해 105번째 수상자가 결정됐다. 수상단체에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3억4000만원)가 지급된다.
올해 노벨상 선정은 14일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면 모두 마무리된다. 앞서 지난 7일에는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마이크로RNA 발견에 기여한 미국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와 게리 러브컨이 선정됐으며, 8일에는 물리학상 수상자로 인공지능(AI) 머신러닝(기계학습)의 기초를 확립한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턴이 선정됐다.
이어 9일 화학상은 미국 생화학자 데이비드 베이커와 구글의 AI 기업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 경영자(CEO)·존 점퍼(39) 연구원이 받았고, 10일 문학상은 한국의 소설가 한강이 수상했다.
출처 : [속보] 노벨평화상에 일본 반핵운동 단체 니혼 히단쿄 - 경향신문 (khan.co.kr)
==================================================================
일본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 日 원자폭탄 생존자 주축으로 1956년 결성·풀뿌리 반핵운동 노벨委 "수천명 증언 제공" 단체측 "핵무기 절대폐지해야" 비핵화 3원칙 사토총리 이어 일본서 2번째 평화상 수상 이시바 총리 "수상 의의 깊어"
올해 노벨평화상은 일본 반핵 평화 단체이자 원폭 생존자 단체인 '일본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니혼히단쿄)'에 돌아갔다.
노벨평화상을 주관하는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11일(현지시간) 202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니혼히단쿄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니혼히단쿄는 2차 세계대전 때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핵폭탄 생존자들이 결성한 반핵 풀뿌리 시민운동단체다.
노벨위원회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생존자들로 구성된 풀뿌리 운동 단체로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통해 핵무기가 다시 사용돼서는 안 된다는 피폭자들의 증언을 보여준 공로를 인정받아 평화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해당 단체에 대해 "수천 명의 증언을 제공하고, 결의안과 공개 호소문을 발표하고, 유엔과 다양한 평화 회의에 연례 대표단을 파견해 전 세계에 핵 관련 군비 축소가 시급함을 상기시켰다"고 강조했다. 내년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지 80년이 되는 해다.
노벨위원회는 "이 역사적 증인들은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캠페인을 만들고, 핵무기 확산과 사용에 대해 경고함으로써 핵무기 위험성을 전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했다"며 "노벨위원회는 지속적으로 높아진 핵 위협에도 불구하고 (니혼히단쿄의 노력 덕분에) 거의 80년 동안 전쟁에 핵무기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수상 소식에 미마키 도시유키 니혼히단쿄 대표는 "핵무기는 절대적으로 폐지돼야 한다"며 "노벨상 수상은 꿈도 꾸지 못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출처 : [2024 노벨상] "핵무기 없는 세상 노력"…노벨평화상에 日원폭피해자단체 - 매일경제 (mk.co.kr)
==================================================================
노벨위원회 “핵무기가 다시는 사용돼선 안 된다는 걸 보여준 공로”
“내년은 미국 원폭이 일본 주민 12만명 죽인 지 80주년 되는 해”
올해 노벨평화상은 일본 원폭 생존자 단체인 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니혼 히단쿄)가 수상했다.
노벨위원회는 11일(현지시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피해자들을 위한 풀뿌리 운동을 해온 시민단체 니혼 히단쿄를 202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니혼 히단쿄는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증언을 통해 핵무기가 다시는 사용돼선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 공로가 있다”면서 “니혼 히단쿄와 다른 히바쿠샤(피폭자·원폭 피폭자를 뜻하는 표현)의 대표자들의 특별한 노력은 ‘핵 금기’의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역사적 증인들은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 캠페인을 만들고, 핵무기 확산과 사용에 대해 긴급히 경고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에 대한 광범위한 반대를 형성하고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했다.
노벨위원회는 내년은 미국의 원폭 두 개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주민 약 12만명을 죽인 지 80주년이 되는 해라면서 오늘날의 핵무기는 훨씬 더 파괴적인 힘을 가지고 있어 문명을 파괴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노벨 평화상에 일본 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 AP연합뉴스
니혼 히단쿄의 미마키 도시유키 대표위원은 평화상 수상이 “전 세계에 핵무기 폐기를 호소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미마키 대표위원은 수상 이후 NHK에 “꿈의 꿈, 거짓말 같다”면서 “히로시마현 평화공원 원폭 위령비에 수상 사실을 보고하러 가고 싶다. 계속해서 핵무기 폐기, 항구적 평화 실현을 세계에 호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니혼 히단쿄는 1956년에 일본 내 피폭자 협회와 태평양 지역 핵무기 실험 피해자들이 결성했으며, 일본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피폭자 단체다.
인류 평화에 이바지한 인물이나 단체에 주는 노벨평화상은 1901년 시작돼 올해 105번째 수상자가 결정됐다. 수상단체에는 상금 1100만 크로나(약 14억3000만원)가 지급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출처 : 국민일보(www.kmib.co.kr),
========================================================================
2024 노벨 경제학상 누가 받을까…가망 후보 '비탈릭 부테린'
비탈릭 부테린 [사진: 테크크린처 | Flickr]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설립자가 202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의 유력 후보로 지목됐다.
9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경제학 블로그 '마지널 레볼루션'의 창립자이자 경제학자인 타일러 코웬(Tyler Cowen)과 알렉스 타바록(Alex Tabarrok)은 팟캐스트에서 올해의 경제학상 수상자에 대해 논의했다.
코웬은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더리움의 공동 창립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비탈릭 부테린을 뽑겠다"고 말했다. 이에 타바록은 부테린이 실제로 통화 경제학에서 무언가를 해냈기 때문에 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데 동의하며, "그뿐만 아니라 비탈릭은 지분 증명으로 나아가 이더리움의 메커니즘 설계에 지속적으로 기여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타바록은 부테린이 이더리움의 작업 증명을 지분 증명 메커니즘으로 발전시킨 것을 '사우디아라비아 사람들이 자동차가 달리는 동안 자동차 타이어를 교체하는 영상'에 비유하며, "이더리움이 바로 그런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코웬과 타바록은 겉으로 보이는 부테린의 이미지가 지적이고 호감 가는 사람으로 여겨진다며, 암호화폐 세계를 대표하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암호화폐에 기여한 것은 최초가 아닌, 익명의 비트코인 창시자에 이어 2번째라고 지적했다.
출처 : digitaltoday
==================================================================-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불평등 연구자에게 노벨 경제학상이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고등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각)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이상 미 매사추세츠 공대), 제임스 로빈슨(미 시카고대) 등 3명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국가 간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아제모을루 등 3명은 ‘세계 불평등’을 오랜 시간 연구해왔다. 국가 간 성장의 차이를 탐색하면서 그 원인이 인종이나 지역, 성별과 같은 변수가 아닌 ‘포용적 제도’에 있다는 점을 규명해낸 것이 이들의 최대 연구 성과로 꼽힌다. 포용적 정치와 법·경제 제도를 갖추고 있느냐에 따라 국가의 성장과 발전의 성패가 갈린다고 논증했다.
최한수 경북대 교수(경제학)는 “아제모을루 등은 경제성장 면에서 포용적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자들”이라며 “이들이 2001년에 펴낸 기념비적인 논문(경제성장의 식민지적 기원)이 나오기 전까지 경제성장에서 제도의 중요성에 주목한 이들은 적었다”고 말했다. ‘자본’이나 ‘기술 혁신’, ‘노동력’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의 원인을 파악해온 기존 흐름에 파열음을 낸 연구 결과를 이들이 내놨다는 뜻이다. 이들의 연구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란 제목의 단행본으로 국내에도 널리 소개되었다.
아제모을루 등의 관심은 최근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기술 발전이 정치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로 옮아가고 있다. 아제모을루와 존슨이 함께 펴낸 ‘권력과 진보’에 그들의 문제의식이 잘 담겨 있다. 안상훈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혁명이 번영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외려 사회를 갈등과 투쟁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기술 진보도 방향을 잘 잡아야 번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아제모을루의 시각”이라고 말했다.
노벨위원회가 2년 연속 불평등 연구자에 수상의 영광을 안긴 대목도 눈길을 끈다. 지난해엔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 연구의 권위자인 클로디아 골딘(미 하버드대)이 수상한 바 있다. 2007년 금융위기 이후 폴 크루그먼(2008년), 앵거스 디턴(2015년), 에스테르 뒤플로(2019년), 데이비드 카드(2021년) 등 진보 성향 연구자들이 잇따라 노벨 경제학상을 받고 있다. 아제모을루 등의 수상도 이런 연장선 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출처 : 노벨경제학상에 ‘국가 간 성장의 차이’ 연구한 3인
올해 노벨 경제학상은 국가들 사이의 경제 번영의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을 제도적 관점으로 분석한 다론 아제모을루 미국 메사추세추공대(MIT) 교수 연구팀에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4일(현지시각) 아제모을루 교수와 사이먼 존슨 미국 메사추세추공대(MIT)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국가의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가의 번영에서 사회제도들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이들의 공로를 설명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등 저서로 국내에서도 유명세를 누린 원로 경제학자다.
노벨 경제학상은 1901년부터 시상된 다른 5개 부문과 달리 1969년부터 수여돼 왔다. 노벨 경제학상으로 통칭되지만 스웨덴 중앙은행이 창립 300주년을 맞아 제정한 상이어서 정식 명칭은 ‘알프레드 노벨을 기념하는 경제과학 분야의 스웨덴 중앙은행상’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국가간 소득의 거대한 격차를 줄이는 일은 지구상 우리 시대가 당면한 거대한 도전”이라며 “수상자들은 인류의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사회적 제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뜻에 따라 인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노벨상은 지난 7일 생리의학상부터 이날 경제학상까지 올해 수상자 발표를 모두 마쳤다.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10일에 열린다. 수상자에게는 메달과 상금 1천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3천만원)가 주어진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
(왼쪽부터) 대런 아제모을루(Daron Acemoglu), 사이먼 존슨(Simon Johnson), 제임스 A. 로빈슨(James A. Robinson) [이미지출처= Ill. Niklas Elmehed © Nobel Prize Outreach]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의 영예는 대런 아제모을루 MIT 교수와 사이먼 존슨 MIT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법치주의가 잘 지켜지고 개인의 권리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체제가 경제 번영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는데, 이 연구 결과가 노벨 경제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제도가 사회의 경제적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임을 강조했다. 특히 국가의 번영을 결정하는 제도를 두 가지 용어로 정의했다. ‘포용적 제도(inclusive institutions)’는 법치와 정치적 자유를 존중하며, 다수에게 경제적 기회를 제공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이끈다. 반면 ‘착취적 제도(extractive institutions)’는 소수가 권력과 부를 독점하고, 다수의 기회를 억압하며 국가의 장기적인 번영을 저해하는 체계다.
세 학자는 16세기 유럽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도입된 각각의 제도가 각국의 경제적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했다. 그들은 특히 착취적 제도를 채택한 국가가 빈곤과 불평등의 악순환에 빠졌다는 점을 밝혀냈으며, 포용적 제도를 도입한 국가는 경제적 번영을 이룰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이들의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였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법치주의가 약하고 인구를 착취하는 제도가 있는 사회는 성장이나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기 어렵다”며 “이번 수상자들의 연구는 이런 현상의 이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라고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수상자들은 경제 번영의 대표 사례로 한국을 언급했다. 수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된 후 전화로 기자회견에 나선 대런 아제모을루 MIT 교수는 “남북한은 제도의 역할을 훌륭하게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남한과 북한은 분단되기 이전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서로 다른 제도 속에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 격차가 열 배 이상으로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한국의 발전이 쉽게 이뤄진 것은 아니었다”면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은 매우 어려웠지만, 한국은 민주화 이후 성장 속도를 더 높였고 성장 방식도 더 건강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물론 한계점도 지적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한국은 여전히 대기업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이먼 존슨 교수는 수상 소감에서 그의 한국인 아내를 언급하며 한국과의 특별한 관계를 언급했다. 그는 “한국의 경제 발전은 국가 성공의 대표적 사례"라면서 1960년대 가난과 독재를 겪었던 한국이 민주화를 통해 경제적 기적을 이룬 과정을 높이 평가했다. 존슨 교수는 특히 한국을 “포용적 제도가 제대로 작동한 국가”라면서 “한국의 정치적·경제적 발전이 그의 연구에 큰 영감을 줬다”고 설명했다.
참고 : 노벨 경제학상은 공식적으로 ‘알프레드 노벨 추모 경제학상(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스웨덴의 중앙은행인 스베리게스 릭스방크(Sveriges Riksbank)가 1968년에 창립 30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한 상이다. 노벨의 유언에 따라 수여되는 오리지널 노벨상(물리학, 화학, 생리학 또는 의학, 문학, 평화)과 달리, 경제학상은 노벨상의 범주에 나중에 추가된 유일한 상이다. 1969년 이후로 전 세계 경제학자들의 탁월한 연구와 기여를 기리며, 경제학 이론과 정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포춘코리아 전유원 기자 yuwonchun@fortunekorea.co.kr
출처 : 포춘코리아 디지털 뉴스(https://www.fortunekorea.co.kr)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0) | 2024.10.12 |
---|---|
2024년 노벨상 수상자 1 (0) | 2024.10.12 |
2024년 노벨상 후보는 (0) | 2024.10.12 |
[2024 노벨상] '노벨상 관문' 어떤 상 있나 (0) | 2024.10.12 |
2023년 올해 노벨상 수상자 (0)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