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빈랑 [檳榔 ]

동물식물자료/약용식물

by 巡禮者 2010. 11. 9. 12:21

본문

 

 

 

 

 

빈랑 [檳榔 betel palm] 

 

외떡잎식물 종려목 야자나무과의 교목.

학명  Areca catechu 

분류  야자나무과 

원산지  말레이시아 

분포지역  인도·말레이시아 

크기  높이 25m 이상

 

말레이시아 원산이다. 높이 25m 이상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길이 1∼2m 되는 깃꼴겹잎이며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싼다. 잎 끝은 갈라져 톱니 모양이며 잎자루는 짧다. 암수한그루로 꽃은 단성화이고 육수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열매는 둥글거나 타원형 또는 긴 것이 있고 지름 3cm 정도로 노란색·오렌지색·홍색 등이다.


열매를 빈랑자(betel nut)라고 하는데, 4억 명 이상이 이것을 씹고 있으며 인도에서만도 연간 10만t 이상을 소비한다고 한다. 빈랑자 한 조각을 입에 넣은 다음 베틀후추(betel pepper:Piper betle)의 잎에 석회를 발라서 같이 씹는다. 베틀후추의 잎은 '판'이라고 하며 저녁 식사 후에 항상 씹으면서 즐기며 흔히 다른 향료를 첨가하기도 한다.


빈랑자에는 타닌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므로 촌충구제·설사·피부병·두통 등에 사용하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열매는 염료로서 많이 사용하여 왔다. 인도와 말레이시아에서 주로 재배하지만 원산지는 확실하지 않다.


빈랑자에는 타닌과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으므로 촌충구제·설사·피부병·두통 등에 사용한다.


효능▶살충(殺蟲),소적행기(消積行氣),이수(利水)


①각종의 장 기생충을 살충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또한 기생충을 죽인 다음 사하(瀉下)작용으로 기생충을 내보낸다. 살충의 목적에는 신선한 빈랑이 더욱 효과적이다. 완만한 사하작용으로 변비를 치료한다.

②이뇨작용이 있어서 전신부종에 쓰인다.

③각기를 다스리는 중요한 약재로 모과와 배합해서 사용한다.

④인체의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체하거나 배속이 더부룩하고 아플 때, 설사를 계속할 때에 이용된다.


약리▶

①구충작용

②위장 평활근의 긴장력을 증가시켜 장관(腸管)의 연동작용을 도와서 설사를 일으키게 한다.


③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④피부진균을 억제한다.


◈주치증상◈ 

"<別錄(별록)> : 음식을 소화시키고 부종을 없애며 痰(담)을 없앤다. 기생충을 없애고 死體(사체)에서 옮기는 병을 치료한다.


蘇恭(소공) : 腹脹(복창)을 치료하고 날 것을 갈아서 가루를 복용하며 대소변이 시원해진다.

부스럼에 붙이면 새살이 돋게 하고 통증을 그치게 한다. 태워서 재를 입 주위가 헌데 바른다.


甄權(견권) : 오장육부의 기가 뭉쳐진 것을 소통시키고 가슴에 뭉쳐진 氣(기)를 해소시키고

水腫(수종)을 빼고 명치부위의 통증과 積聚(적취)를 없앤다.


池大明(지대명) : 모든 風邪(풍사), 氣(기)로 인한 통증을 없애고 關節(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九竅(구규)를 잘 통하게 하며 과로로 인한 쇠약을 다스리고 脾胃(비위)를 돕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없애며 積聚(적취)를 제거한다.


李珣(이순) : 氣(기)가 아랫배에서 위쪽으로 치받는 증상, 膀胱(방광)의 이상, 氣(기)의 소통이 안 되는 증상, 風(풍)과 冷(냉)으로 인한 증상, 脚氣病(각기병), 消化不良(소화불량)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 衝脈(충맥)이 병든 것, 氣(기)가 위로 치솟는 증상, 갑작스러운 설사를 참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 泄瀉(설사)후 뒤가 무거운 증상, 복통, 대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증상, 痰(담), 천식을 치료하고 학질을 치료하며 풍토병과 전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옛날 옛적에 중국의 해남성(海南省)에 삼팽(三彭)이라고 불리는 요정(妖精)이 있었는데 못된 짓이란 못된 짓은 다하며 백성들을 괴롭혔다. 천제(天帝)는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빈(賓)이란 무사(武士)를 파견하였다. 빈(賓)은 삼팽(三彭)과 일곱 밤 일곱 낮을 싸웠다.


삼팽(三彭)은 빈(賓)에게 끝까지 대항할 수 없어 오지산(五指山) 밀림 속으로 도망쳐 숨었다.


빈(賓)은 계속 삼팽(三彭)을 추격하였다. 바로 이때 나무꾼이 등에 땔나무를 짊어지고 산에서 내려오고 있었다. 옹달샘 앞에 도착한 나무꾼이 갈증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물을 떠서 마시려고 하는 순간에 삼팽(三彭)은 작은 벌레(蟲)로 변신하여 물속에 빠져버렸다.


삼팽(三彭)은 다행히 나무꾼의 뱃속으로 들어가 버렸기 때문에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나무꾼의 뱃속에서 밖으로 나올 수 없었다. 이 소식을 들은 삼팽(三彭)의 사모(師母) 삼고(三姑)는 급히 삼팽(三彭)을 구하러 오지산으로 왔다.


빈(賓)은 도저히 삼고와 대항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삼고(三姑)는 오지산(五指山) 아래에 있는 큰 바위로 빈(賓)을 눌러 놓았다. 그렇지만 빈(賓)은 죽을지언정 절대로 삼고에게 굽히지 않았다. 그리고 빈(賓)의 마음속에는 백성들을 구제해야 된다는 생각뿐이었다.


드디어 빈(賓)은 바위 밑에 깔려있는 동안 한 그루의 나무로 변하였다. 바위틈을 뚫고 나와 자라기 시작하였다. 키는 8m 내지 10m 나 되고 곁가지가 없으며 안은 비어있고 밖은 억세었다. 파초(芭蕉)의 잎사귀와 비슷하고 바람이 불 때면 매우 빨리 좌우로 움직이는 모습이 흡사 요정(妖精)을 빗자루로 쓸어내는 형상이다. 이 나무가 바로 빈랑수(檳榔樹)이다. 또 하나의 고사는 다음과 같다.


염제(炎帝) 신농(神農)의 딸의 이름은 빈(賓)이고 사위의 이름은 빈랑(檳榔)이었다. 빈랑(檳榔)은 총명하고 위풍이 당당하였다. 어느 날 빈랑(檳榔)은 요정(妖精)과 싸움을 벌였다. 불행하게도 빈랑(檳榔)은 요정에 의하여 살해당하였다. 빈은 남편 빈랑(檳榔)을 곤륜산(崑崙山) 밑에 묻어주었다.


몇 년 후에 빈랑(檳榔)의 무덤 속에서 한 그루의 나무가 자라기 시작하더니 많은 열매를 맺었다. 빈랑(檳榔)의 사랑하는 부인 빈은 과실을 항상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며 남편을 그리워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빈랑(檳榔)의 과실을 먹으면 요정의 작숭을 피할 수 있다고 한다.


빈랑(檳榔)은 익지인(益智仁)과 사인(砂仁)과 파극천(巴戟天)과 더불어 사대남약(四大南藥)이며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다. 빈랑(檳榔)의 꽃과 열매와 과피(果皮)와 꽃턱잎(花苞)은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빈랑(檳榔)의 수령(樹齡)은 대개 60년 인데 100년 이상 사는 것도 있다.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여족(黎族)은 빈랑(檳榔)을 길상지물(吉祥之物)로 여기고 있다. 여족의 젊은 남녀들의 혼인 문제에 있어서 빈랑(檳榔)은 결정적인 작용을 해준다.


”토인중차물(土人重此物), 대인이위신(待人以爲信), 혼인이위정(婚姻以爲定)”


다시 말하면 ”본토박이들은 빈랑(檳榔)을 중요시한다. 왜냐하면 빈랑(檳榔)은 사람을 믿음으로 대우해 주며 혼인을 결정지어 주기 때문이다.” 는 뜻이다.


현재까지도 해남(海南) 지방에서는 젊은 남녀가 서로 빈랑(檳榔)을 언약의 물건으로 주고받으며 결혼을 약속한다.


소수 민족 중 빈랑(檳榔)을 먹는 풍속도 조금씩 다르다. 빈랑(檳榔)은 올리브와 서로 비슷하다. 빈랑(檳榔)을 씹을 때 맛이 쓰고 떫으며 씹은 후 개운한 맛과 단맛을 느낀다. 그리고 씹으면 씹을 수록 맛이 더 좋아 ”구향당(口香糖)” 이라고도 부른다.

화한약고(和漢藥考)에 보면 동인도와 말레이시아 본토인들은 빈랑(檳榔)을 잘게 썰어 후추 잎사귀로 싸서 먹고 씹는 담배 처럼 질근 질근 씹어 먹기 때문에 입안은 선홍색(鮮紅色)이나 이빨은 검정색으로 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빈랑(檳榔)을 씹고 있는 동안 숨을 쉬면 입안과 코속이 서늘하고 상쾌하다. 그리고 이가 튼튼해 진다.


소동파(蘇東坡)는 해남(海南)으로 좌천되어 내려갔을 때 다음과 같은 시를 읊었다.

”양협홍조무미(兩頰紅潮妩媚), 수지농시취빈랑(誰知侬是醉檳榔).”


다시 말하면 ”양쪽 볼이 불그스레 어여쁜 여인아! 누가 당신이 빈랑(檳榔)에 취해있는 줄 알리오!" 라는 뜻이다.


옛날 광주(廣州) 사람들은 빈랑(檳榔)을 무척 좋아하였다. 자희태후(慈禧太后) 역시 빈랑(檳榔)을 좋아하여 어의들이 광서(光緖) 11 년 7 월에 자희태후에게 ”법제빈랑편(法制檳榔片)”을 만들어 바쳤다.


처방은 당삼 2 냥(兩), 정향(丁香) 2 전(錢), 목향(木香) 2 전(錢), 황기 한 냥(兩), 백출(白朮) 한 냥(兩), 죽여(竹茹) 한 냥(兩), 후박(厚朴) 5 전(錢), 사인(砂仁) 6 전(錢), 등심(燈心) 3 전(錢), 빈랑(檳榔) 4 냥(兩)으로 조성되어 있다.


법제빈랑편(法制檳榔片)은 익기화중(益氣和中) 해주고 개위진식(開胃進食)의 효능이 있다. 원래 서태후(西太后)는 비위(脾胃)가 약했었다.


명(明) 나라 때 명의(名醫) 장경악(張景岳)은 ”광남지인조석소서이무상(廣南之人朝夕笑噬而無傷).” 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광남 사람들은 조석으로 빈랑(檳榔)을 웃으며 씹어 먹어도 아무런 탈이 없다” 는 뜻이다.


그러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에 ”식빈랑유손정기(食檳榔有損正氣), 불의구식(不宜久食).” 이라고 기록해 놓았다. 다시 말하면 ”빈랑(檳榔)은 오래 먹지 못한다. 왜냐하면 빈랑(檳榔)을 장복하면 정기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는 뜻이다.


청(淸) 나라 때 식의(食醫) 명가(名家) 왕사웅(王士雄)은 ”빈랑제비감지독(檳榔制肥甘之毒), 고량가의지(高粱家宜之), 허약인급담박가기식(虛弱人及淡泊家忌食).” 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하면 ”빈랑은 맛 좋은 음식들의 독을 없애주고 귀한 음식과 기름진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그러나 허약한 사람들과 담박한 사람들에게는 부적당하다.” 는 뜻이다.


팽정산(彭靜山)의 저서 약롱소품(藥籠小品)에 보면 ”빈랑야응적도(檳榔也應適度), 빈랑흘다료(檳榔吃多了), 가성은(可成瘾), 난계(難戒)”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빈랑은 적당히 먹어야 한다. 많이 먹을 경우 중독에 걸리며 한번 중독에 걸리면 끊기 어렵다.” 는 뜻이다.


빈랑(檳榔)은 종려과(棕櫚科) 상록교목(常綠喬木) 빈랑수(檳榔樹)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말레이시아와 필립핀이다. 중국내에서는 1500여 년전 부터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해남성과 운남성과 대민(臺灣)에서 재배하고 있다. 현재 빈랑(檳榔)은 인도와 인도네시아와 스리랑카와 필립핀에서 대량 생산된다.


빈랑(檳榔)은 원래 빈랑(賓郞)이었다. 빈(賓)과 랑(郞)은 귀한 손님을 일컫는다.


남방초목상(南方草木狀)에 보면 ”영남인상식이대차(嶺南人常食以代茶), 범유귀객(凡有貴客), 필선정차(必先呈此), 객지불설차(客至不設茶), 유이빈랑위례(唯以檳榔爲禮), 명왈빈랑(名曰檳榔), 취의유차(取義由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영남 사람들은 빈랑(檳榔)을 차 대신 마신다. 귀한 손님에게 반드시 빈랑(檳榔)을 먼저 바친다. 손님이 오면 찻상을 차리는 것이 아니라 오직 빈랑(檳榔)을 예물로 바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빈랑(檳榔)이란 이름을 얻었다.” 는 뜻이다.


현대 본초학 서적에 보면 빈랑(檳榔)의 과각(果殼)은 대복피(大腹皮)로 기록되어 있고 빈랑(檳榔)의 성숙한 씨는 빈랑(檳榔)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명(明) 나라 이전의 본초서에는 대복피는 대복자(大腹子)의 외피(外皮)로 기록되어 있다. 빈랑(檳榔)과 대복자는 다른 종류의 한약이다.


나대경(羅大經)의 저서 학림옥로(鶴林玉露)에 보면 ”영남지습(嶺南地濕), 인이빈랑대차어장(人以檳榔代茶御瘴), 기공유사(其功有四). 일왈성능사지취(一曰醒能使之醉). 개식지구(蓋食之久), 즉훈연협적(則熏然頰赤), 약음주연(若飮酒然), 소동파소위(蘇東坡所謂) ”홍조등협취빈랑야(紅潮登頰醉檳榔也).” 이왈취능사지성(二曰醉能使之醒). 개주후작지(蓋酒後嚼之), 즉관기하담(則寬氣下痰), 여정돈해(餘酲頓解), 주희소위(朱熹所謂) ”빈랑수득위거담야(檳榔收得爲祛痰也)”. 삼왈기능사지포(三曰饑能使之飽). 개공복식비(蓋空腹食之), 즉충연기서여포(則充然氣盛如飽). 사왈포능사지기(四曰飽能使之飢). 개포후식지(蓋飽後食之), 즉음식쾌연이소(則飮食快然易消). 기실(其實), 빈랑적진정약용위행기행기(檳榔的眞正藥用爲行氣), 파적(破積), 살충(殺蟲), 기파기극속(其破氣極速), 교지각(較枳殼), 청피우심(靑皮尤甚).”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영남(廣東, 廣西) 지방은 땅이 습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빈랑(檳榔)을 차 대신 마심으로써 늪에서 나오는 독기를 막아 준다. 빈랑(檳榔)은 네 가지 공효가 있다. 첫째 정신이 멀쩡한 사람을 술에 취한 사람 처럼 보이게 한다. 빈랑을 먹고 난 후 사우나를 하고 나온 사람 처럼 얼굴이 불그스레 해진다. 술을 마신 사람이 술에 취하여 붉어진 얼굴과 같다. 그래서 소동파는 ”빈랑(檳榔)은 술에 취한 사람 처럼 얼굴을 붉게 만들어 준다.” 고 시를 읊었다. 둘째 빈랑(檳榔)은 술을 깨어주는 역할도 한다. 술을 마시고 난 후 빈랑(檳榔)을 씹으면 담을 제거시켜 준다. 숙취를 즉시 풀어준다. 그래서 주희는 ”빈랑(檳榔)은 거담작용이 있다.” 고 말했다. 셋째 빈랑(檳榔)은 배고픈 줄을 모르게 해준다. 공복에 빈랑(檳榔)을 먹으면 즉시 배부른 것 처럼 기가 살아난다. 넷째 배가 부를 때 빈랑(檳榔)을 먹으면 배가 고파진다. 포식한 후 빈랑(檳榔)을 먹으면 즉시 소화가 된다. 실제로 빈랑(檳榔)의 작용은 행기와 파적과 살충 작용이다. 파기 작용은 빨라서 지각과 청피의 효과에 못지 않다.” 는 뜻이다.


운남(雲南) 태족(傣族) 산마을에 빈랑(檳榔)에 대한 다음과 같은 고사가 하나 있다.


”재흔조적시후(在很早的時候), 일개명규난향적고낭(一個名叫蘭香的姑娘),유침어낙안지용(有沈魚落雁之容),폐월수화지모(閉月羞花之貌),근노현혜적난향여본채적소화자암봉상친상애(勤勞賢惠的蘭香與本寨的小伙者岩峰相親相愛),정재저여칠사밀적애정중(正在這如漆似蜜的愛情中),난향적두자점점대료기래(蘭香的肚子漸漸大了起來),암봉회의난향부정(岩峰懷疑蘭香不貞),요화저단절래왕(要和她斷切來往).난향적부친야이위여아주료주인적사(蘭香的父親也以爲女兒做了丢人的事),우기우한(又氣又恨),편나출일사빈랑(便拏出一些檳榔),후도(吼道):”쾌장저흘도(快將這吃掉),도림간거사파(到林間去死吧)!”난향함원탄식료전부빈랑(蘭香含寃呑食了全部檳榔),읍불설설지설(泣不成聲地說):”다다(爹爹), 보중(保重)!”취햘림간분거(就向林間奔去).과료사시후(過了些時候),지견난향종임간주출래(只見蘭香從林間走出來),복평여상(腹平如常),인문주진임간일초(人們走進林間一瞧),아(啊)! 원래저아출료일퇴소사반적충자(原來她屙出了一堆小蛇般的蟲子).저시대가재명백(這時大家才明白),순결미려적고랑원래시환료충증(純潔美麗的姑娘原來是患了蟲證),인위빈랑능살충(因爲檳榔能殺蟲)!”


다시 말하면 “난향(蘭香)이라는 처녀는 빼어난 용모와 더불어 부지런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다. 같은 마을에 사는 암봉(岩峰)이란 총각과 사랑하게 되었다. 이들의 사랑이 무르익어 갈 때 난향의 배는 점점 불러 올랐다. 암봉은 난향의 부정(不貞)을 의심하기 시작했으며 절교를 선언했다. 난향의 부친은 자기 딸 난향이가 딴 남자와 사랑하여 임신한 줄 알고 화도 났고 한편으로는 한심스럽기도 하였다. 난향의 부친은 난향에게 빈랑(檳榔)을 한 줌 집어주며 ”빨리 빈랑(檳榔)을 먹고 깊은 산속에 가서 죽어버려라” 고 큰 소리를 지르며 고함쳤다. 난향은 억울하지만 별수 없이 참으며 아버지가 보는 앞에서 빈랑(檳榔)을 모두 먹고나서 흐느껴 울면서 ”아빠! 몸조심 하시고 건강에 유의하십시요!” 라고 마지막 인사를 한 후 산속을 향하여 급히 달아났다. 며칠 후 난향은 불러있던 배가 푹 꺼져서 날씬한 몸매로 산속에서 나왔다. 동네 사람들은 난향이가 들어가 있던 산속으로 달려가 보았다. 작은 뱀과 같은 기생충 한 무더기가 난향의 대변속에 들어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아름답고 순결한 난향 아가씨가 기생충병에 걸려 있었다는 것이 백일하에 드러났으며 빈랑(檳榔)은 살충효과가 있다는 것도 증명되었다.” 는 뜻이다.


남북조(南北朝) 시대 도홍경(陶弘景)의 저서 명의별록(名醫別錄)에 보면 ”빈랑살삼충(檳榔殺三蟲), 요촌백(療寸白).”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빈랑(檳榔)은 삼충(三蟲)을 죽이고 조충(绦蟲)도 죽인다.” 는 뜻이다.


사실 빈랑(檳榔)은 조충(绦蟲)과 강편충(姜片蟲)과 편충(鞭蟲)과 요충(蟯蟲)과 구충(鉤蟲)과 회충(蛔蟲)을 죽인다. 빈랑(檳榔)은 장도(腸道) 기생충의 적수(敵手)인데 어찌 삼충(三蟲)만 죽이겠는가? 임상 보도에 의하면 빈랑(檳榔)의 저육조충병(猪肉 绦蟲病)의 치유율은 90% 이고 강편충병(姜片蟲病)의 치유율은 47% 내지 90% 이며 요충병(蟯蟲病)의 치유율은 38% 이고 구충병(鉤蟲病)의 치유율은 55% 내지 91% 이며 편충병(鞭蟲病)의 치유율은 65% 이고 회충병(蛔蟲病)의 치유율은 40% 내지 68% 라고 한다.


대부분 빈랑(檳榔)을 복용한 후 24 시간 이내에 배충(排蟲)된다.


빈랑(檳榔)의 복용량은 성인의 경우 매차 100g 내지 120g 이며 아동의 복용량은 성인의 절반이다. 수전복(水煎服)하며 아침 새벽 공복에 복용한다. 빈랑(檳榔) 50g 과 고련근피(苦楝根皮) 50g 을 함께 수전복해도 장도(腸道) 회충이 박멸된다.

'동물식물자료 >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엽과 인진쑥  (0) 2011.01.30
독활 [獨活]   (0) 2010.11.28
소루쟁이와 수영 비교  (0) 2010.10.21
소루쟁이 / 육지의 미역   (0) 2010.10.21
소루쟁이  (0) 2010.10.21

관련글 더보기